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가흠의 단편 ’그런, 근원’을 본 적이 있다. 직접 내용을 분석하고 그 흐름까지 그려보았던 인연 깊은 소설 중 하나였다. 책날개에서 김애란씨의 사진을 보았을 때 눈에 띄는 세 글자가 있었는데, 바로 백다흠. 알고보니 소설가 백가흠씨의 동생이었다. 다른 소설책을 보면서도 알듯말듯 백다흠씨의 사진을 많이 보았다. 늘 동적이면서도 마음을 흔드는 사진이 인상깊었다. 쌍둥이 소설가 장은진, 박희진 자매 이후로 반가운 형제를 알게 되어 은근한 설렘이 느껴졌다. 멋진 소설을 쓰는 형과 분위기 있는 사진을 찍는 동생. 두근거리는 조합이었다. 


한 장 더 펼치면 정말 김애란 작가의 두근거리는 장편소설이 시작한다.  
이것은 가장 어린 부모와 가장 늙은 자식의 이야기다. 
그 노소(老少)가 심적으로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부분까지 관여한다는 것을 알았을 때, ’조로증’이라는 희귀병이 소설의 중심 제재가 되어가는 것을 읽으면서 심장이 한 박자를 못 참고 두 박자로, 두 박자를 못 참고 세 박자로 뛰어가는 것을 느꼈다. 잘 알지 못하는 이야기에 대한 의구심이 앞섰고 주인공의 조숙한 말투가 특별한 인생의 두근거림을 단조롭게 이야기 해 줄 것이라는 기대가 만들어 주었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를 전할 뿐이지 남들과 다른 ’불쌍한 내 인생’을 독자가 알아주길 원하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심장이 뛰기 시작한 생의 첫 지점부터 그는 남들보다 더 긴 시간을 살면서 17년간의 두근거림을 값지게 간직하고 사랑으로 넘겨주고 싶었을 것이다. 다소 어른스러운 주인공이었다. 


키는 초등학생만하고 얼굴은 주름투성이에 신체나이는 80세를 훌쩍 넘은 ’나’는 희귀병인 조로증에 걸린 겉늙은 아이다. 어느덧 17세가 된 그는 학교에 관한 기억이라고는 반년이 고작이다. 친구를 사귈 기회가 없었던 내게 말이 통하는 상대라고는 아쉽게도 이웃인 장씨 할아버지뿐이다. 장씨 할아버지는 나이는 몇십살이 차이가 나면서 자신을 동네 형 대하듯이 하는 ’나’를 버릇이 없는 나쁜 놈이라고는 하지만, 정작 자신이 아름이를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친구요, 하고 말을 끈다. 또래의 친구를 사귀라는 장씨 할아버지의 말에 고민을 하던 나는 방송을 통해 만난 ’서하’라는 친구를 사귀게 된다. 동갑에 여자아인 서하에게 나는 첫사랑과 같은 풋풋한 감정을 느끼면서 메일을 주고받는다. 하지만 서하가 사실은 거짓된 존재라는 걸 알게되고 나는 다시 두근거리는 인생의 굴곡을 느낀다. 소설에서는 나의 죽음을 볼 수 없었지만, 중환자실에서 부모님께 자신이 쓴 소설을 보여주면서 희미한 말꼬리를 남기는 것으로 죽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다수의 조로증 환자들이 평균 15년 정도를 살아가는데, 주인공 아름의 삶도 이와 다르지 않다. 


소설을 한 장 더 넘기면, 한아름이 쓴 단편 ’두근 두근 그 여름’이 있다. 자신으로 인해 잃어버릴 수 밖에 없는 부모님의 지난 날에 대한 추억을 선물하고 싶었던 아름의 뜻깊은 선물이다. 소설을 지은 작자답게 아름은 부모님이 그 글을 볼 때 눈을 감으면서도 여러 고민을 한다. 이 부분을 이렇게 읽으면 어쩌지, 부모님은 어떤 부분을 보고 웃을까 등등. 범상치 않게 태어난 처음부터 부모님께 소설을 선물 한 마지막까지 심장을 조이고 풀면서 살았던 한아름의 인생 일기는 드디어 끝. 한아름의 심장이 내 가슴 속에서 연이어 뛰는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