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짓의 심리학 - 속마음을 읽는 신체언어 해독의 기술
토니야 레이맨 지음, 강혜정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나는 기쁠 때 온 얼굴이 웃고, 동작이 크다. 슬플 때는 표정이 굳어 세상에서 가장 못난이가 된 것 같다. 몰래 다른 행동을 하다 들켰을 때는 압권이다. 아무렇지 않게 하던 일을 그대로 하면 될 것을 괜스레 몸을 빠르게 움직여 허둥지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잽싸게 아무 노래를 흥얼거리기 시작한다. 가장 많은 세월을 함께 보냈던 부모님은 살짝 눈 감아 주실 때가 종종, 분명 나의 딴짓을 금세 감지했을 것이다. 나는 끝까지 아닌 척 하지만.(웃음) 이렇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사소한 행동 하나가, 심리학에서는 분석 대상이 되고 사람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가 된다니 신비로웠다. 사람이 사람을 볼 때 그 마음까지 헤아릴 줄 아는 멋진 심리학의 세계. 


식당이나 카페에 들어가면 벽을 등지고 앉아란다. 상대방이 온전히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가장 효과적인 만남이 될 수 있도록. 여자인데다가, 친구들과 있으면 주로 압장서서 걷는 편이라 자연스레 벽을 등지고 앉았던 것 같다. 은연 중에 효과적인 대화의 기본을 갖춘 셈이었는데. 아. 종종 집중력이 부족했던 내가 벽이 아닌 다른 쪽을 보고 한눈을 팔아 상대방을 고려하지 못했던 적이 많았다. 친구랑 이야기를 하다 맞은 편에 나만 보이는 TV 프로그램 이야기를 하고, 내 앞의 상대를 너머 보이는 신기한 물건 혹은 사람의 이야기를 꺼낸다거나. 그러고 보니 그때마다 내가 벌써 놀라고 말을 한참 꺼낸 후에야 상대는 뒤돌아보게 되니 원활한 대화가 이뤄지기 쉽지 않고, 대화가 잘 통하지 않아 짧게 끝난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내가 가졌던 찬스를 이용하지 못했다니 이런 심리학! 


당연한 부분도 쉽게 체크하지 못했던 사람들의 심리를 정리하여 다양한 일화와 함께 소개해주니 호기심이 가고 금세 읽혔다. 자기계발서마냥 두런두런 읽다가 보면 공감되어 감탄을 꺼내고, 정말 그런지 눈을 가까이 대기도 했다. 얼마 전 심리를 파헤치는 내용을 담은 웹툰 ’닥터 프로스트’를 보고 관심을 가졌던 부분들이 쏙쏙 눈에 들어왔다.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연예인들의 태도를 보고 그 상황을 읽어내는 부분이었는데, 그때문에 사람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올가미가 심리학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심리학을 전공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대화를 나누며, 특성을 읽어 상대를 더욱 배려해주는 심리학자들. 이 매력적인 분야에 푹 빠져 각 대학교의 심리학과 경쟁률도 자꾸 높아지나 보다? 사람을 알아가야 즐거운 세상에서 작은 몸짓으로 속마음까지 읽으려는 욕심쟁이 후후훗! 심리학의 세계는 재미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