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굿바이 솔로 1 ㅣ 노희경 드라마 대본집 4
노희경 지음 / 북로그컴퍼니 / 2011년 3월
평점 :
드라마 굿바이 솔로를 보지 못했다. 대본집 굿바이 솔로를 읽었다. 예고 편을 보면서 아쉬워하고 다음 내용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었다. 단번에 드라마 전 부분을 읽는 재미가 짜릿했다. 아쉬움을 넘어서는 기대감에 읽는 속도가 빨라졌고, 시험을 치느라 쌓여있던 스트레스가 단번에 날라갔다. 멋진 스트라이-크였다. 적당한 시간에 엄청난 만족을 주는, 색다른 스트레스 해소법. 그 전에 노희경 작가가 캐릭터를 얼마나 잘 살리며, 그에 현실성을 부여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를 그 인물들을 통해 잘 담아내는지 주목하게 되었다. 감탄하느라 눈도 코도 입도 웃는 시간 동안 인간 존재의 의미가 아름답게 빛났다.
드라마는 드라마라고 생각했다. 이쪽이 아닌 저쪽 어딘 가에 존재하는 에피소드를 모아모아 만든 극한의 이야기. 그래서 시청자들의 감정을 극대화시켜 공감도 얻고 인기도 얻는다고 여겼다. 하지만 요즘 들어 인간미가 묻어나는 드라마를 많이 볼 수 있었다. 드라마를 보고 울고 웃으며 가족A가 떠오르기도 하며, 친구B가 겹치기도 했다. 심지어는 다른 드라마의 캐릭터가 불현듯 생각나기도 했다. 진부할지도 모르는 친근감은 또다른 매력적인 캐릭터의 필수요소였다.
’굿바이 솔로’는 이러한 친근함으로 승부한다. 분명 캐릭터마다의 개성은 강했지만 그 내면은 나의 내면을 들여다 보는 것 같다. 노희경 작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잘 헤아릴 줄 안다. 드라마를 통해 심리 치유를 던지는 마냥 가슴 울리는 문구를 틈틈히 낭송한다. 그 순간마다 한명한명의 캐릭터는 ’내’가 되어있다. ’나’는 인간이라면 모두 가질 수 있는 내면의 슬픔을 노희경 작가의 내레이션을 통해 치유한다. 반창고를 덕지덕지 붙여놓았던 마음에 새살이 돋는 것처럼.
노희경 에세이, ’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에는 노희경이 자신의 글을 어떻게 써내는지 몇가지 원칙을 소개하고 있다.
1. 성실한 노동자가 되어라.
노동자의 근무시간 8시간을 지킬 것.
2. 인과응보를 믿어라.
쓰면 완성할 확률이 높아지고, 고민만 하면 머리만 아프다.
3. 드라마는 인간이다.
인간에 대한 탐구가 드라마에 대한 탐구다.
4. 디테일하게 보라.
듬성듬성하게 세상을 보면, 듬성듬성한 드라마가 나오고, 섬세하게 세상을 보면 섬새한 드라마가 나온다.
5. 아픈 기억이 많을수록 좋다.
작가는 상처받지 않는다. 모두가 글감이다.
6. 생각이 늙는 걸 경계하라.
몸은 늙어도 마음은 늙지 않는다. 그러나 생각은 늙을 수 있다. 지금 내가 하는 모든 생각이 편견인 것을 직시하고, 늘 남의 말에 귀 기울일 것. 자기 생각이 옳다고 하는 순간, 늙고 있음을 알아챌 것.
7. 조율을 잊지 마라.
드라마는 혼자 하는 작업이 아닌 더불어 함께하는 작업이다. 조율하지 못할 거면 드라마 작가를 포기하라. 드라마작가는 드라마의 여러 작업 파트 중 다만 글을 쓰는 사람일 뿐, 우두머리가 아니다. 작가적 중심과 독선을 구분하는 게 관건이다.
이전에는 의아하게 생각했던 3번 문구를 이제, 마음 속에서 배울 소중한 말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녀의 드라마는 인간이다. 그녀의 드라마를 좋아하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녀의 대본집을 꼭 한 번 보길 권유한다. 글이 줄 수 있는 생동감이 그녀의 대본집에는 아름답게 살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