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미
구병모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상처를 되짚는다. 그동안 일부러 상처를 통해 아프게 내뱉었던 ’숨’과 같은 일들은 무엇이었으며, 나는 그러한 일들이 덤덤하게 느껴질 정도의 아가미를 지니고 있었는지. 


소설의 주인공 ’곤’은 아가미를 지녔다.  선천적인 것인지 후천적으로 발달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물고기의 그것과 같은 아가미가 목 뒤에 있었다. 등 부분은 비늘이 박힌 것처럼 은은하게 빛났으며 한 마리의 물고기 마냥 강을 자유롭게 돌아다녔다. 독특하기 짝이 없어 사람들 사이에 꽁꽁 숨어야 했던 곤이었다. 그는 부모님에 대한 기억도 불투명하고, 신원을 알 수 없어 학교를 다니지 못했으며, 자신이 살고 있는 집에서도 언제나 제 공간을 찾지 못해 짐처럼 지내왔다. 곤은 언제나 상처처럼 보이는 아가미로 숨을 쉬었다. 익숙하다는 듯이 상처 사이로 삶을 연명했다. 


곤의 모습에서 나는 나의 모습을 보고,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주변 친구, 세상의 모습을 보는 것 같았다. 처음에는 남들처럼 평범하게 살 수 없는 곤이 안쓰러웠지만 그런 곤의 모습을 거듭 보면서 잔재처럼 놓여 있던 일들이 하나둘 곤에게 몰려들었다. 아가미가 단단해져갈수록 삶의 무게를 더해가는 사람들은 그것이 마치 당연한 것이고 어쩔 수 없는 것인 양 살아갔다. 감정에 무덤덤해지기까지 시간은 쏜살같이 흘렀고 이따금 솔직하고 원초적인 말 한마디에 문득 슬퍼하고 후회하고 했다. 그 '어쩔 수 없는 것'이 정말 어쩔 수 없는 것이었는지 생각하면서.


소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를 읽고 ’생각의 전환’이라는 교훈을 배운 적이 있다. 이 교훈은 부정적인 에너지를 긍정적인 에너지로 바꾸어 말을 건네는 화자도 그 말을 듣는 청자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한마디로 윈윈(win-win)전략이었는데, 작가의 능숙한 글 솜씨와 생각만 달리 먹으면 되는 간단한 비법에 당장이라도 그 방법으로 능숙한 말솜씨를 뽐내고 싶었다. 하지만 잘 되지 않았다. 나는 ’전환’이라는 비법을 능숙하게 적용하지도 못했을 뿐더러 그것을 생각하기에 앞서 감정적으로 일을 대처하곤 했다.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문득 내뱉은 말이 나뿐만 아니라 친구에게도 달리 말했으면 지치고 힘들었을 일을 즐겁고 할 수 있는 일로 만들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 나는 그것이 바로 ’전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후로 ’전환’이 한결 가볍게 다가왔다. 


이러한 ’전환’이 곤의 상처를 거쳐 곤에게 다른 삶을 전해주었다면 그리고 그런 곤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상처를 보는 것뿐만 아니라 그 상처가 물고기의 아가미처럼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해주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고 큰 일들이 물흐르듯 흘러 담담한 일이 되고 그 일들이 사실은 상처가 아니었음을 깨닫게 되기까지 곤이 훌쩍 어른이 되어버린 시간 사이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