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의 우울 - 김영찬 비평집
김영찬 지음 / 문예중앙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소설을 읽을 때 나는 망망대해에서 홀로 바다를 짚고 일어나 육지가 아니더라도 일어설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사람들의 시선 사이로 나만의 생각을 갖는 사람이. 그러다 보면 이리저리 어지럽혀 있던 퍼즐같던 이야기가 문득 해답을 찾아 환한 봄 햇살을 받을 때도 있었다. 내가 투자한 생각 한 줌이 1등으로 당첨되었습니다. 내용만 쫓기 바쁘다가 그 글을 쓴 저자를 보게 되고 ’작가의 말’을 유심히 읽게 되고 뒤이어 문학평론가의 해설을 읽었을 때, 소설은 그 내용만으로 끝이 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았고 그제야 그 소설에 대해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2년 전에서야 배운 큰 깨우침이었다. 


우연히 현대 소설을 중심으로 갖은 토론을 하는 동아리에 들게 되었고, 나는 막연히 좇고 있던 소설에 대한 선망을 조금 구체적으로 품을 수 있게 되었다. 동아리의 수업 방식에 따라 꾸준히 여럿 소설을 읽게 되었고 말할 거리를 쟁여놓기 위해 열심히 머리를 굴리곤 했다. 그러다가 식상하지만 전형적인 생각을 나도 떠올리게 되고 넘어서 좀 더 논리적으로 생각을 풀어내다가 멀리 섬처럼 놓여있던 의문을 하나로 연결지을 때도 있었다. 소설은 생각이 모일수록 원숙한 세상이 되었다. 매번 사람들의 생각을 한마디씩 얹은 소설이 더 재밌고 기억에도 오래 남았다. 한두마디의 비평은 항상 소설의 길잡이가 되었다. 


소설의 자투리처럼 놓인 ’해설’이 아닌 비평만으로 이뤄진 비평집을 처음 보게 되었다. 부지런하지 못한 탓에 비평집에서 소개한 소설을 읽지 못하고 비평을 읽었다. 분명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하지만 소설만 읽다가 읽는 비평은 ’생각의 방법’을 쉽게 소개해주었다. 저자의 비평은 따라가기 쉬웠으며 내 생각을 갖기보다 저자의 생각을 배우는 식으로 비평을 읽어보았다. 아직 저자의 비평을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뜻 그대로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기에 이런 저런 말을 얹을 수 없지만 전문 비평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어 많은 배움이 있었던 것 같다. 능숙한 비평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마음 속을 맴돌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