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심할 때도, 우울할 때도, 즐거울 때도, 여유를 만끽하고 싶을 때도 ’7년의 밤’을 건네고 싶다. 하나의 사건을 바탕으로 그려진 7년간의 침묵이 묵직하게 입을 열었다. 영화를 보는 것보다 더 역동적이면서도 소설 특유의 문학성 또한 놓치지 않았다. 7년의 밤을 풀어내는 구성이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올가미가 되어 흥미를 자아내고 있었다. 멋진 소설이었다. 


서평을 쓰면서 이렇게 찬사를 담아내고 싶은 적은 처음이다. 그만큼 소설이 전해준 문학적 감동이 온 몸에 고스란히 남았으며, 처음 접하게 된 저자의 소설이 큼직하게 느껴졌다. 이제껏 정유정, 그녀를 왜 몰랐을까. 그녀의 소설에는 세상에는 있지 않지만 더 진짜같은 공간이 존재했고, 그 곳에 그녀가 만들어낸 실제로 그곳에 살고 있을 법한 사람들이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 모든 것이 진실이고, 허구였다. 그 거대한 놀라움이 순식간에 덮쳐왔다.


소설의 구성이 매우 자연스러웠다. 중심이 되는 사건을 적나라하게 소개해주다가도 이따금 나의 머리를 툭툭 쳤다. 뒷통수를 몇 번이나 맞았는지. 아, 그 말이었어. 그 이야기였어. 난잡하게 흩어져 있던 조각이 저 홀로 제자리를 찾고는 뒤따라오는 손에게 나 좀 봐라는 식이었다. 소설이 ’진실’을 들고 나를 재촉했다. 그 끝에는 조악한 사람의 본성과 세상의 이면에서야 볼 수 있는 진실이 놓여 있었다. 소설은 ’다른 시선’을 제공해줌으로써 매력적인 결말을 맺었다. 


한 쪽 시선에서는 조악하기 그지 없는 사람이 다른 시선에서는 사랑을 마음 속 깊이 지닐 수 밖에 없는 사람이 되었고 소설에서는 그 시선들이 자꾸 넘나들었다. 그래서 자꾸 궁금했다. 진실은 얼마나 더 풍부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순식간에 거짓이 될 수 있는 것인지. 우리가 세상의 악당을 바라보는 시선과 그 악당이 악당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어떻게 교차될 수 있는지 ’7년의 밤’은 섬세하게 잘 보여주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