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들리지 않아도
사토 리에 지음, 한성례 옮김 / 이덴슬리벨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토 리에는 귀가 들리지 않고,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지만 접객업에 종사하는 필담 호스티스이다. 말의 어려움을 생각하면 아무 이상 없이 능숙하게 소리를 듣고 낼 수 있는 사람들도 대화를 하는 데 많은 곤란을 겪는데도 리에는 자신의 장애를 특별하게 여기지 않고 자신의 장점으로 자신의 앞길을 만들어 냈다. 그녀의 선천적인 밝은 성격이 귀 대신 장애를 앗아 갔고 그녀는 지금 작은 메모장과 펜 하나로 스스로의 가치를 소중하게 돌보게 되었다. 그녀가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기 시작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솔직한 경험담을 담은 자기계발서를 읽는 기분이 들었다. 상대방의 기분을 배려하면서 대화를 해나가는 방법. 그녀가 살아오면서 얻은 삶의 보석들을 하나씩 따낸 것 같아 신비로웠다. 그녀가 풀어 낸 남들과 조금 다른 인생 이야기를 읽은 것만이 아니었다. 불현듯 얼마 있지 않아 읽게 된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권문수, 2007)’이 사토 리에의 책과 겹쳐졌다. 이 책은 미국에서 사이코 테라피스트를 10년째 해온 저자가 많은 환자들을 만나오면서 잊을 수 없었던 사연을 모아놓은 책이다. 그 안에는 환자의 사연을 들려주면서 그에 연관되는 심리적인 요인과 마음의 병을 소상하게 적어놓았다. 리에의 읊조림과 마음의 병을 나열한 목록에서 약한 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기에 아무 연고도 없는 두 책이 손을 잡고 시선을 흔들었다. 자기계발서도 아닌 두 책이 내 마음 여저를 두드린채 더 진솔하게 휘어잡았다.
각각의 매력이 전혀 다른 책이지만 진솔하고 약한 이야기가 순식간에 그리고 함께 다가왔다. 사토 리에의 책에서는 리에의 굳은 의지가 느껴져서 좋았고,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는 현대인이 쉽게 얻을 수 있는 마음의 병을 쉽게 공감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어 좋았다. 두 책은 내게 두 손 맞잡아 시너지 효과를 낸 손잡은 책들이었다.
리에를 보면서 얕은 지식으로 ’오체불만족’의 오토다케 히로타다가 떠올랐고, ’오체불만족’ 이후 2편과 다름 없는 책을 통해 그 이후의 오토의 소식도 알 수 있었던 것처럼, 사토 리에의 소식도 어김없이 들려오면 좋을 것 같다. 그녀의 솔직함을, 당당함을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