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을 부르는 수학 공식 - 소설로 읽는 20세기 수학 이야기 에듀 픽션 시리즈 7
테프크로스 미카엘리데스 지음, 전행선 옮김 / 살림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깔끔한 소설이었다. 아직 풀리지 않는, 앞으로 풀어야할, 수학 난제를 두고 어쩌면 가치관의 싸움이라고도 할 수 있는 수학적 논의가 소설의 흐름을 이끌었다. 1900년의 늦은 여름, 파리 국제 학술대회에서 연사로 초빙된 힐베르트 교수는 23가지의 난제를 던지면서 치명적인 수의 세계도 많은 수학도들을 자극한다. 바로 그 자리에서 주인공 미카엘 이게리노스와 수학 교사인 스테파노스 칸다르트지스는 만나 열띤 수학적 논의를 펼치기 시작한다. 그들은 비록 처음 만나 ’그리스인’이라는 동질감으로 우연히 뭉치게 되었지만  처음 만나는 순간부터 스테파노스의 죽음에 앞선 마지막 순간까지 그들의 관계는 지독하다고 할만큼 ’수학’, 그 자체로 얽혀 있다. 그로부터 장편 소설 한 권에 이르는 그들의 수학적 논의를 계속해서 볼 수 있었다.


’수학’은 조금 어려웠을 뿐이지, 지루하지는 않았다. 고등학교 문과를 거쳐 문과계열의 대학에 진학하게 된 나는 한참만에 만난 지독한 수학이 낯설기도 하고 반가운 느낌이 동시에 들었다. 이 책은 수학문제를 겨우내 풀 때 느낄 수 있는 쾌감을 신속하게 전해주었는데, 그 느낌이 너무 오랜만이어서 굉장히 이질감이 들었다. 그래서 사실 처음 이 책을 읽을 때 보란듯이 수학과 관련된 이야기만 나누는 주인공이 지루하기 그지 없었다. 하지만 그런 지루한 틈새를 금세 알아챘다는 듯이 ’미술’의 세계를 한 발자욱 뒤섞여 보여주고, 오랜 기간 함께 논의해왔던 친구 스테파노스의 죽음을 급작스럽게 드러냈다. 경관은 여러 정황을 미루어 단번에 그의 친구였던 주인공을 의심하기 시작하는데, 소설이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인 ’나’의 시선으로 쓰여져왔기에 얼마나 ’나’가 독자인 내게 많은 것을 숨겨왔는지 궁금했다. 소설 마지막에 등장한 편지는 순식간에 모든 사건을 마무리 짓는다. 심지어, 수학 명제에 담긴 낯선 물음까지도. 


교과서에 담긴 확실한 공식을 두고 숫자만 이리저리 바꾸어 푸는 고등학교 수학과 수학 명제를 두고 그 사실을 밝혀내거나 사실의 존재여부를 아는 것을 거부하려는 그들의 논의는 결국 하나의 문제로 압축되었는데, 아무리 간단한 수학문제도 명쾌하게, 또 완전히 끝난 문제는 없다는 것이었다.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 싶은 수학적 문제도 다시 세대를 거듭해 손에 땀을 쥔 수학자들의 논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수학은 점점 열리고도, 닫히고도 있었다. 책 뒷면에 소개 된 ’20세기 유럽을 사로잡은 지성인들과 예술인들이 총출동한 지성적인 스릴러’라는 말이 딱 맞게 <살인을 부르는 수학 공식>은 엄청난 상상력이 가미된 소설이었지만 흠뻑 수학의 매력을 제대로 담은 재치있는 지성적인 스릴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