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연대기 샘터 외국소설선 5
레이 브래드버리 지음, 김영선 옮김 / 샘터사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래이 브래드버리가 화성을 다녀온 사이 지구는 멸망해 있었다. 몇몇 ’지구인’들은 화성에서 지구를 바라보아야 했고, 몇몇은 불타오르는 지구를 보며 제 친지들이 무사할까 마지막 로켓을 타고 떠났다. 1999년에서 2026년에 걸친 화성연대기는 소수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미루어 인간 전체의 무서움과 고독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작가가 쏟아부은 상상력에 한 사람의 인간이 홀로 읊조리는 듯한 화성의 이야기는 전혀 지루하지 않았고 오히려 무섭게 다가왔다. 풍성한 상상력 속에 현실감이 무던히 묻혀 있었다. 지구의 최후가 꼭 그러할까 겁이 난 것도 사실이다.

사실 처음 이 책을 볼때는 이상한 기분이 먼저 들었었다. 지금은 벌써 2010년이고, 작가는 1999년부터의 이야기를 하고 있었기 때문인데, 더구나 소설의 중심이 되는 시간은 1999-2005년의 어느날이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시간이었다. 하지만 소설에서는 이미 지구를 떠난 몇몇의 사람들이 달도 아닌 화성에 착륙했고, 화성인들과 소통을 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화성인에게 지구인은 낯선 이방인에 불과했고, 제 1호, 2호 등지의 사명을 띠고 떠난 지구인은 처참하게 죽음을 맞이한다. 있을법한 일이지만, 일어나지 않은 일이었다. 나는 그러한 아이러니에서 약간의 혼란을 겪었다. 마치 초등학생 때 10년 후의 모습이라고 휘황찬란하게 날아다니는 도시를 그려놓았지만 정작 10년 후인 지금의 세상은 생각보다 평범하다는 걸 깨달은 충격과 비슷했다.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성연대기>는 1950년에 간행된 당시 최고의 SF문학이자 걸작이었다. 


지금 읽어도 그 상상력에 손색이 없는 도서가 이제서야 우리나라에 번역되어 들어왔다는게 아쉬웠다. 하지만 출간된지 얼마 안 되어 이렇게 이 책을 읽게 되어 너무 고마웠다. 읽는 순간이 아깝지 않은 책이었다. 베르베르의 상상력에 뭇 시인들의 감성이 더해진 듯한 <화성연대기>는 총 26가지의 에피소드 중 하나하나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색다른 매력을 느끼게 하는 팔색의 매력을 아낌없이 지니고 있었다. 하나의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떠오르는 생각이 달랐다. 그렇게 나는 26가지 곱하기 몇 배의 생각을 하며 이 책을 읽을 수 있었다. 미래를 예측했던 저자의 시선에 놀라면서도 더불어 세심하게 인간의 본성을 잘 그려낸 데 다시 한 번 감탄했다. 지구와 거진 동일한 화성이라는 하나의 행성에 사는(혹은 찾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연이어 놓았지만, 그 거대한 상황에서 사람으로써 할 수 있는 고뇌를 놓치지 않았고 무(無)와 다름없던 화성에 지구의 방식으로 자꾸 틀을 만들어 나가는 인간의 이기적이면서도 고지식한 면모를 아낌없이 드러내고 있었다. 화성의 고요함이 그만의 매력으로 독자인 나를 휘어잡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