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스 워킹 Book One : 절대 놓을 수 없는 칼 1 카오스워킹 1
패트릭 네스 지음, 이선혜 옮김 / 문학수첩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무더운 여름이다. 여름은 아스팔트 도로가 폭삭 익어버릴 듯한 햇볕을 보내면서, 그에 따른 출발 신호를 알리듯이 주기적으로 매미가 울어댄다. 귀를 잠시 막고 싶은 심정이다. 여름이 접어들고 부터 '정적'은 찾기 힘들다. 비가 시끄럽게 내리거나 매미가 시끄럽게 운다.(요즘에는 특이하게 천둥번개를 동반한 비도 많이 내린다.) 사람들은 더위에 지쳐 조용한데, 자연은 시끄럽다. 마치 프렌티스타운에 감돌던 노이즈 바이러스가 퍼진 것처럼, 온통 소음 천지다. '더위'가 촉각의 청각화가 되어버린 것 같다. 어쩌면 그네들은 뭔가 시끄럽도록 말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는데, 나는 전혀 자연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다. 이는 내가 자연에 동화되지 못한 탓이겠지. 툴툴. 이렇게 툴툴되는 이유를 카오스워킹에서 찾아볼까.

 

 

카오스워킹은 무한한 상상력의 세계다. 주인공 토드는 온갖 사람들의 생각(노이즈라 이르는)까지 들을 수 있는 세계에 살고 있고, 그 세계에서는 '여자'를 볼 수 없다. '여자'는 모두 노이즈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죽었고 그랬기에, 그 곳에서 토드는 항상 가장 어린 소년이 되어야 했다. 그는 일년이 열 세달인 곳에서 12년하고도 열 두달을 보냈으며, 이제 어른이 되기까지 딱 30일이 남은 상태였다. 토드가 사는 마을, 프렌티스타운에서는 13살이 되면 '어른'이 될 수 있는데, 그가 어른이 되기 직전 정체를 알 수 없는 '정적'을 느끼고부터 진실을 파헤치게 되는 뜀박질을 하게 된다. 그러다가 이 곳에 불시착한 한 '소녀'를 만나게 되고, 그는 이제껏 진실이라 믿었던 '토드의 세상'이 깨어져 나가는 것을 느낀다. 그는 파브랜치 마을을 넘어 무언가 해결책이 있을 듯한 헤이븐을 향해 가는데 ... 이처럼 카오스워킹의 세계는 온전히 새로운 세계였고, 그들이 알아야하는 진실 또한 새로운 것이었다. 하지만, '소리'에 관한 무언의 성찰은 현실의 무엇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것 같았다.

 

 

어떤 소리라도 조화가 되지 못한 채 겹치면 소음이 되어버리고 만다. 하물며, 모든 사람들의 생각이 겹친다면, 토드가 만난 '정적'으로 대표되는 소녀 비올라의 말처럼, 생각으로 들리는 것이 아니라 소음으로 들릴 뿐이다. 그러니깐 토드의 세상은 '소음'이 난무하는 세상이었다. 귀를 막는 것으론 임시방편도 되지 않았다. 토드는 소음으로 가득찬 사람들이 벌인 무시무시한 전쟁에서 도망치고, 나아가 그들을 잠재울 필요가 있었다. 소음 속에서 해답을 찾는 것이 토드에게 주어진 숙제였다. 토드는 자신의 생각은 모두 노출되어야 하면서, 상대의 생각을 들을 수 없던 비올라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없었다. 토드가 만난 첫 번째 혼란이었다. '불균형'이었다. 모두의 생각이 공유되던 세계의 균형이 깨어지자 토드는 계속해서 뜀박질을 해야만 했다.

 

 

나는 아직, 겨우 권수로 따지면 6권이나 되는 카오스 워킹의 극미한 일부밖에 접하지 못했다. 하지만 1/6의 내용에서 담고 있었던  문제의 시작은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었다. 가장 먼저, '소리'에 대한 생각을 시각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는 과연 얼마나 많은 소리를 듣고 있는지도 생각해보았다. 또 그러한 소리가 외면적인 소리에 지칠만큼 갇혀, 내면의 소리를 들을 여유조차 없을 때를 생각해보았다. 말하자면, 토드의 세상은 조금 안타까운 세계였다. 또한, 있는 그대로의 소리를 때로는 받아들일 필요도 있었다. 내가 매미의 소리에 얼굴을 찌푸리던 것처럼, 매미도 내가 내었던 평범하다고 생각했던 '소리'가 시끄럽게 들릴 수도 있었다. 소리는 언제 '소음'으로 둔갑할지 몰랐다. 그러니깐 '소음'도 소리로 들을 수 있는 마음가짐이 필요했다.  작가인 패트릭 네스의 상상력 아래 토드가 얼른 '좋은 소리'를 듣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