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라이프 - 카모메 식당, 그들의 따뜻한 식탁 Life 라이프 1
이이지마 나미 지음, 오오에 히로유키 사진 / 시드페이퍼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이니. 식상한 질문이다. 하지만 넌 취미가 뭐야, 좋아하는 색깔은 처럼 조금만 찾아보면 30문 30답 같은 자기소개에 들어 있을 법한 그런 질문이 될 수 있다. 그러니깐 누군가는 ‘너’가 좋아하는 음식을 한번쯤은 알고 싶은 것이다. 나도 사람을 만나면 상대가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심심풀이로 그 질문을 한 번 던져본다. 그런데 그 심심풀이땅콩이 그 사람과 나의 관계를 심심찮을 정도로 즐겁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러니 어찌 궁금하지 않을까.


그 사람과 조금 더 친해지면 상대가 대체적으로 좋아하고, 또 싫어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밥 한끼 하자, 라고 흔히 던지는 말이 상대와 나 사이를 최대의 즐거움으로 초대할 수도 있다. 그런 질문을 던지다 보면 상대가 극도로 싫어하는 음식도, 한편으론 나와 상대가 스트레스를 싹 날릴 수도 있는 ‘먹는 즐거움’을 전해주는 그런 음식도 찾게 된다. 그렇게 좋아하는 음식이 더 맛있으면 우리는 맛집을 찾게 되고, 나랑 상대는 다음 맛집을 기약하면서 더 친해진다. 음식의 힘은 없던 이야기도 술술 나올 만큼 위대한 것이다.
 

'Life'는 그러한 ‘음식의 힘’을 내게 깨우쳐 준 책이다. 다양한 레시피와 함께 그렇게 만들어지는 음식마다의 개개인의 이야기를 전해주면서 말이다. 에세이에는 자신의 한 음식에 대한 소중한 이야기가 담겨 있었고, ‘음식으로도 내 인생을 이렇게 논할 수 있어’라고 살짝 메시지를 남겨주었다. 그 덕분에 나도 내가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이지, 하는 기본적인 질문에서 음식으로 이어지는 나만의 에피소드를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다. 

다니카와 슌타로는 핫케이크 이야기를 하였다. 나는 이 사람이 누군지 전혀 모른다. 오직 음식으로만 이 이야기를 읽었다. 그는 팬케이크와 함께한 세월을 환멸의 역사라고 여긴다. 그러니깐 아직까지 가장 이상적인 맛의 팬케이크를 맛보지 못하였다는 의미다. 하지만 그는 끝부분에서 이렇게 말한다. ‘슈퍼에서 핫케이크 믹스 같은 상품을 보면 복잡한 감상에 휩싸인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와 함께 착실하게 쌓아온 핫케이크 굽기 노하우가, 이제 추억의 저편으로 멀어져 가는 듯한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내 생각이지만, 그는 이미 어릴 때 이상적인 팬케이크를 맛본 것이 틀림없다.  

  

카레와 관련하여 상당히 인상적이었던 요시모토 바나나의 이야기와, 낯선 음식 오하기에 대해 너무 재밌게 알 수 있었던 이토이 시게사토의 이야기 그리고 진솔하게 얽힌 시게마츠 기요시의 양배추롤 이야기. 에세이마다 개성이 가득하여 쏙 빠져들어 읽었다면 내 기분을 가장 정확히 전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도 얼른 이 요리들을 만들어 보아, 그것과 관련된 개성 있는 나만의 글을 간직하고 싶었다. 그건 다른 사람에게 건넬 수 있는 나만의 에피소드가 되는 것이다. 
 

맛난 음식은 먹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하지만 내 이야기가 담긴 음식은 보기만 해도 재미날 것이다. 함께 그 음식을 먹으면서 상대에게 이런 내 이야길 서로 공감하면서 들려줄 수도 있다. 그리고 상대 역시 그 음식을 좋아했고, 내 이야기에 공감했다면 함께 즐거울 수도 있다. 더구나 Life의 쉬운 레시피를 따라 내 이야기를 떠올리며 그 음식을 만들어 볼 수 있다. 나에게 ‘음식 에피소드’의 매력을 알게 해준 'Life', '잘 먹겠습니다.',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