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먹는 이야기 지원이와 병관이 7
김영진 그림, 고대영 글 / 길벗어린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원이와 병관이를 우연히 파주에 있는 길벗에 갔을때 알게 되었어요.그날 거거서 몇권의 책을 보고 나선

아이들이 좋아하는 책으로 사오고 그때부터 지원이와 병관이를 자세히 보게 되었는데요.

지원이와 병관이..아이들은 특히나 병권이의 표정이나 제 또래 아이들의 모습이라 아주 편안하게 책을 대합니다.

거짓말, 두발자전거 배우기, 손톱깨물기 등의 책을 읽으며 그림을 보다 보면 정말 깜짝 놀랍니다..

어쩜 동화속의 지원이와 병관이는 살아 움직이는 캐릭터로 느껴진답니다.

그래서 저희 세아이는 늘 이 둘을 사랑한답니다.





이번에도 길벗에서 읽을 기회를 주셨는데요..

역시 지원이 병관이 입니다..아빠가 안계시는 저녁에 피자를 시켜먹는데 아빠가 약속이 취소되어

집에 오시는대요..아빤 피자를 좋아하지 않아 혼자 김치볶음밥을 만들어 먹네요..

저희 남편도 매일 점심을 밖에서 먹으니 저녁이나 주말에 외식을 하고 싶어도 쬐금 눈치를 준답니다.

매일 매일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 내어야 하는 고통과 수고로움은 전혀 알아 주지 않구요..



다음 된장찌개에 특별한 반찬이 없는 아침..지원이와 병관이의 시무룩한 표정이..젖가락만 물고 있는

병관이를 보니 아들이 겹쳐보이더라구요..아들도 채소보다는 고기를 좀 더 좋아하는 아이거든요.

조금 자랐다고 고기도 양념이 된 닭볶음, 고추장양념 고기, 생선등을 좋아해요..

엊그제 아들의 입맛을 살려주기 위해 육개장도 맛나게 끓여 후루루 했는데요..

딸아이는 그래도 지원이처럼 김치를 잘 먹지는 않는데요..모든 음식을 골고루 잘 먹는 아이도 아니랍니다.



이 날 급식으로 지원이가 좋아하는 카레밥, 고구마 맛탕, 깍두기, 요구르트가 나오네요..

최고의 식단이라며 점심을 배불리 먹고 돌아오는 지원이의 하교길은 아름답기 까지 합니다.

김영진선생님의 그림을 보고선 딸은 선생님은 어떻게 이렇게 그림을 잘 그리지..

내내 물어본답니다. 노란 은행나무길을 걷는 지원이와 친구..그들과 동행하는 돼지 양 토끼

날아다니는 물고기..어 펭귄이 보이지 않네요.





엄마와 장을 보러간 두 아이..저녁메뉴는 무엇일까요? 저녁에는 밥을 먹어야 한다는 지원엄마와 전 생각이 일치하는거 같아요..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침을 잘 먹어야 한다지만..저녁을 잘 먹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잖아요..메뉴가 새싹비빔밥인게 누군가가 좀 맘에 걸리네요..ㅋㅋ

장을 보는 동안 아이들에게 과자를 고르게 해주는데요..병관이는 좋아하는 과자가 많아요..

고르는데 마트 과자를 다 넘어뜨려버리는 꼭 한개만 골라야하니 얼마나 맘의 고민이 되는걸까요?

이해가 갑니다. 저도 어릴때 과자를 좋아해 많이 먹었거든요..그나마 우리 도윤이와 태우는 그래도

과자를 엄청 많이 먹진 않아서 다행이여요..늘 주말에 놀러가거나 할때 과자를 사는데..이들도 취향이 정해져

있어..나름 규칙대로 과자를 사는대요..사실 저도 과자 대신 감자 고구마 떡으로 간식을 먹이고 싶은데..

이미 혀가 느끼는 그 맛의 유혹은 아이들이 넘기 힘든 산이라는 생각 잠시 했답니다.

역시 새싹비빔밥..이들을 의기소침하게 만드는 메뉴이네요..ㅎㅎㅎ



소세지 전투...





서로 소세지를 더 먹겠다고 싸우는 남매들..지원이는 원래 맛있는 것을 먼저 먹고 병관이는 아꼈다가 뒤에

먹는다는 말이 완전 공감이여요..왜냐면 그런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주변에서도 보잖아요..

특히 저희 아이들도 좀 그럴때는 좀 분쟁이 생기더라구요..

빨리 같이 먹어버리면 되는데..한아이는 아끼고 한아이는 먼저먹고..먼저 먹은 사람이 또 먹고 싶은 맘이 생겨나고

이내 지원이는 아빠에게 꾸지람을 듣는대요..



부모들은 다 한결같은 맘인가봐요..난 나쁜 습관을 가졌더라도 아이들은 올바르면 좋겠잖아요..

그리고 내가 부족했다면 아이들에게는 더 많이 해주려구 하는 맘도 있는거구요..

지원이 아빠는 작가선생님들의 맘을 담은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살짝~~



저희 남편도 둘째에게 밥상머리에서 조금은 싫은 소리를 하거든요..골고루 잘먹어야 건강하다는데.

아이들이 잘 먹는 것이 고기 종류이니..늘 야채 먹어야한다는..잔소리 아닌 잔소리있잖아요..

지원이는 엄마와 아빠가 걱정하는 맘을 압니다. 지원이도 그런 자기의 모습을 상상하는데요..







지원이의 아빠가 우리아빠와 다른 이유는 적극적으로 야채먹이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인데요..

억지로 야채를 먹이지 않는다. 잘게 썰어 볶음밥을 해준다, 좋아하는 고기와 함께 먹이게 해준다..

이건 엄마가 하고 있는 방법..한가지 새로운 방법이 보이는데요..텃밭가꾸기..

이건 생각보다 실행하기 힘든 방법이라서 아빠는 고민에 빠집니다..



주말..메뉴를 두고 벌이는 대화는 정말...맞다 맞아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엄마가 스파게티를 만들어준다니

병관이와 아빠에게는 별로인가봐요.이때 엄마의 말이 제말이더라구요..

"한가지 하는 것도 얼마나 번거로운데..이것 저것을 어떻게 해요?" 공감 100%

아침에도 아빠는 어제 먹은 된장찌개를 두고 한번에 먹을 만큼만 만들지 하는 말을 해서 엄마에게 미안해

했더랍니다..엄마왈 "남은 걸 어떡하고 매번 새 반찬을 만들어요!"

맞습니다..엄마들이 밥상을 책임지고 있지만..사실 집안일이 요리만 있다면 즐겁지만..

그게 현실은 아니잖아요..우리집에도 두번만 올라오면 세번째는 젖가락을 잘 안 되는 큰 아들이 한분 계신답니다.







어때요? 병관이와 아빠 많이 닮았지요..엄마는 이 남편이..정말~~하는 표정입니다..



그렇게 그날 저녁은 삼겹살입니다..엄마도 메뉴를 정해놓고는 여유있게 누워 tv를 보는데요..

외식이든..삼겹살이든..다음 식사의 메뉴가 정해지면 맘이 편해지지요..게다가 아이들이 고기를 좋아한다면

더 그렇지요..그러면서

'내일은 또 뭘 먹지..걱정하는 엄마의 말이 가슴에 와닿습니다..



이 책을 쭉 읽고 보니 이런 생각이 드네요..

지원이와 병관이를 좋아하는 아이들을 위해 이 책을 읽고 싶었는데..어느새 내가 이 책을 공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가족이야기라서 그럴까요??



정말 재밌는 책입니다. 작가 선생님 두분다 남자이신데..어찌 이렇게 엄마의 맘을 잘 표현하시고..

아이들의 행동도 꿰뚫고 계실까요??

매일 매일 아이들에게서 눈을 떼지 않으실까 하는 궁금증이..드는데요..



마지막에 삼겹살을 먹으며 행복해 하는 지원 병관이네 가족을 보니 저희 가족도 주말에는 삼겹살을 한번

맛나게 먹어야 겠네요..



길벗에 감사를 드립니다. 읽으면서 그림을 보면서..내내 행복한 책은 지원이와 병관이가 으뜸입니다.

더 많은 지원이와 병관이의 이야기 기대하구요..



전 이 책을 보면서 시작전 앞뒤표지에 있는 썸네일스케치도 좋아요..

작가분들의 작업하는 모습을 조금이라도 더 엿볼수 있어서 말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빠질 수 없는 즐거움은 숨은 친구들 찾기이지요..

이 책을 읽으시는 다른 분들도 책 안에서 날개 달린 물고기 펭귄 토끼 양 돼지 꼭 찾아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