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불안할 때 논어를 읽는다 - 현대인의 삶으로 풀어낸 공자의 지혜와 처세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어는 공자와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이라고 한다.

사실 나는 논어를 공자의 말씀을 엮은 책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래서 제자들이 포함되었다는 부분에서는 조금 놀라기도 했고 논어나 공자를 알지만 그 깊이까지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은이 판덩역시 논어는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책으로 생각했었다고 하는데 친구를 통해 좀더 논어와 가까워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사람이 논어와 관련된 책을 집필까지 하게되다니. 실로 놀라운 발전과 인연이다.

논어의 말과 함께 좀더 현대적인 해석과 명인들의 명언까지 포함시켜 쉽게 논어에 다가가,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지은이만큼이나 논어는 어려운 책이라고 생각해왔던 나이기에 좀더 와닿을 수 있는 부분들이 참 좋았다.

전국시대에 화려한 언변을 자랑한 소진, 장의는 후세에 존경받는 일이 드물지만 강직하고 굳세며 질박하지만 어눌했던 공자와 맹자는 시간이 지난 뒤 되려 존경받는 군자로 기억되고 있다는 내용을 전하며 정직함, 교묘한 눈속임에 가까운 말과 얼굴을 따끔하게 지적한 부분에서 지금의 시대를 사는 사람들도 뜨끔해야 하지 않을까.

지금의 시대가 그 시대보다 더더욱 교묘함이 넓게 퍼져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떤 SNS의 책소개에서 "결국 남는것은 정직한 사람이다."라는 대목이 떠오른다.

그 옛날 전국시대에 정직했던 공자 맹자가 지금에 와서 많은 인정을 받듯, 결국 지금의 사회에서도 멀리본다면

정직함이 살아남을 것이다.

책의 중간에 소개된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라는 책 역시 궁금해하던 책이었는데, 소개가 되어있으니 이 책도 꼭 한번 살펴봐야겠다. 점점 폭력성이 줄어들고 인도주의적인 세상으로 진화해왔다고 하는데 슬프게도 얼마 전 일어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쟁을 생각하면 아직 인도주의적인 세상은 좀 더 가야할 길이 있는 것 같다.

모래와 개미를 통한 이야기는 짧지만 깊이있는 내용을 전달한다.

스승의 나쁜점을 험담하는 한 제자의 이야기를 듣고서 모래위로 사탕을 던진다.

곧 모여든 개미들이 모래는 두고 사탕만 옮기는 이야기다.

'자네는 어째서 쓸모있는 사탕은 놔두고 모래를 옮기려 하는가?

스승의 나쁜 점만 관찰하지말고 유용한 부분을 배우고 가치가 있는 부분만 보도록 하게.'

사탕만 옮기는것은 참 간단한데 사람의 마음은 왜 이리 간단하지 않을까.. 깨닫고 반성하게 되면서도 당장 변화하지 못할 것을 아는 스스로가 답답해지기도 한다. 불평 불만 없이 묵묵히 사탕만 옮길수 있는 마음을 키울수 있을까.

나쁜 씨앗을 뿌리고 훌륭한 결실을 바라지 마라.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는 우리내 속담이 있다.

이 두가지 문장이 인생 전반에 걸친 일들에 다 적용이 된다. 회사에서의 업무든, 인간관계이든, 자녀와의 관계든.

속하지 않는 곳이 없다. 내가 건내는 마음이나 말이 결국 훌륭한 결실이 될수도 나쁜 결실이 될수도 있다.

고르고 골라 좋은 것들을 심자.

상냥한 말, 굳건하며 따뜻한 마음, 정직한 행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