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무섭고 애처로운 환자들 - 치료감호소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정신질환과 범죄 이야기
차승민 지음 / 아몬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스를 통해 범죄인이 심신미약을 이유로 감형이 되거나 보호감호소 처분이 내려지는 경우를 종종 접하곤 한다. 이제는 대중들이 먼저 어떠한 범죄에 있어 또 심신미약으로 처분되는 거 아닐까 하는 날 선 시선을 세우기도 한다. 본래의 의도라면 심신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법의 배려이건만 이토록 날 선 논쟁이 될 정도로 심신미약의 기준이 모호해 왔다.

 

국립법무병원의 정신과 의사라고 밝힌 저자는 정신질환자이면서 동시에 범죄자인 환자들을 돌보는 의사다. 사실 저자의 이름에서도 근무 환경에서도 나름의 선입견 탓인지 저자가 남자일 거라고 생각했다. 범죄자, 그것도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범죄자라는 선에서 과연 여자로서 감당이 될까?라는 생각을 한 것을 보면 역시 나도 나이를 어쩔 수 없는 옛날 사람인가보다.

 

환자가 속이려고 할 때 알아내는 법에서 미친척을 하며 옷을 몽땅 벗은 남자 환자의 이야기는 꽤나 재미있으면서도 저자가 얼마나 의사로서 덤덤하게 환자를 관찰했을지가 그려졌다. 그정도 대담성과 평정심이 없고서야 이런 직업을 선택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가정폭력의 피해자에서 가해자가 된 환자들, 성범죄 환자들, 그리고 반사회성 성격장애 환자들 여러 가지 유형의 환자들에 대한 경험담을 덤덤하게 알려준다. 제목에서처럼 무서운 범죄자들이지만 어딘가 애처로워지는 부분이 있는 환자들도 있다.

 

최근 사이코패스 만큼이나 많이 언급되는 것 중에 하나가 조현병인 것 같다.

목소리를 듣거나 환각을 보기도 하는 그들은, 그들이 만들어낸 망상을 현실이라고 믿는다.

예전에 어느 방송에서 이웃과 싸움이 끝나질 않는데 알고보니 조현병으로 자신에게 나쁘게 했다는 망상에 사로잡혀 분뇨 테러를 일삼는 일을 본적이 있다. 그리고 생각보다 주변에 조현병 환자가 없지 않음에 놀라움도 크다. 조현병이란 것을 알게된 이유에서인지 깜짝 놀랍게도 주변에 조현병 환자가 있다는 것을 세삼 알게되었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감기가 폐렴이 되고 심각하면 죽음에 이르듯이 우울증도 치료 시기를 놓치면 더 큰 문제를 야기 한다는 점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것이다. 우울증으로 스스로를 죽음으로 내모는 사람들이 현저히 늘어나고 있고, 때론 타인에게 휘두르는 경우도 늘고 있다.

그리고 크든 작든 우울증이 감기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되고 있다는 점도 무시하지 못한다.

 

범죄는 범죄로, 질병은 질병으로 나누어 봐야 할 필요성도 분명히 있다. 하지만 여전히 심신미약의 기준에 대해선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법이 개정되면서 정신과 입원 환자가 많이 줄었다고 한다. 가족에 의해 강제 입원 된 경우가 많았다고 얼핏 예전에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다. 지나치게 신체를 구속한다는 이유에서 개정되었다고 하는데 가족이 데려가 입원시키기 어려운 환자의 경우에는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