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도시 SG컬렉션 1
정명섭 지음 / Storehouse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에 위치한 서울과는 어울리지 않는 이름 '뉴욕 탐정 사무소'.

탐정사무소라는 그럴듯한 이름을 뒤로하고 그곳에서 아슬아슬 한 재정 속에 탐정을 하고 있는 강민규에게 어느날 먼 친척인 삼촌 원종대가 찾아온다. 남북의 새로운 화합공간이자 경쟁공간이기도 한 개성공단에서 공장을 운영중인 원종대는 최근 자꾸 맞지 않는 재고량과 원자재 등으로 강민규에게 조사를 의뢰하게 되고 강민규는 원종대의 공장에 직원으로 위장해 개성공단으로 들어가게된다.


군에서 서로 총구를 겨누며 서로 죽일 듯이 대치하던 북한을 같은 공간에서 일하는 동료로 마주하는 강민규의 마음은 복잡했다. 북한도 '사람 사는 곳'이라는 말 답게 공산국가임에도 이런 저런 비리들이 강민규의 눈에 들어오고 자신을 탐탁치 않아 하는 직장동료들 사이에서 강민규는 개성공단을 그만두고 나오려 한다.

그러던 중 발생한 유순태 법인장의 사망사건, 그리고 용의자로서 억류되 조사를 받게된다.


여긴 사고가 나서는 절대로 안되는 곳이야.

여긴 대한민국이나 북한이 아닌 제3의 공단, 아니 제3의 도시라고.


사고가 나서는 안되는 제3의 도시이자 민감한 공간인 개성공단.

결국 그런 연유로 개성공단에서 추방을 당하는 것으로 끝이 나려 하지만 이대로는 살인자라는 누명 속에서 자신의 나라에서 평생을 살아야 함을 생각했을 때 강민규는 이대로 추방당하는 것만이 끝이 아니라는 판단을 하게 된다.

추방당하기 전까지 자신의 무죄를 밝힐 것. 강민규에게는 목표가 생겼다.

그리고 북측의 오재민과 함께 수사를 진행한다.


지금은 기억으로만 남게된 개성공단, 소설 속에 존재하지만 예전에 실제로 존재했던 우리 역사의 공간이다.

우리나라만이 가질 수 있는 소재의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유일한 분단 국가인 대한민국이자 그 분단국가에서 서로 통일이 되지 않은 채 협력하며 일을 했던 개성공단.

이름만 들었던 개성공단으로 나같은 이에겐 실제로 출입을 할 수 없었던 미지의 공간이었기 때문에 이 소설을 읽으며 이 이야기들이(실제 출근을 하는 방식 등) 실제 개성공단에서의 생활과 비슷했을까 아니면 작가의 허구일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아마 어느 작가든 기초작업을 위한 사전 조사를 분명 이 작가도 했을 것이기에 사실에 기반하지 않았을까. 우리나라에서만 나올 수 있는 소재의 추리소설이란 점에서 독창적이고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


혹시 연결된 후속작이 나오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구도로 끝이나서 작가의 새책을 유심히 주시하게 될 듯하다. 작가님은 다 계획이 있으시겠지!?


세상은 진실에는 관심이 없어요. 오직 자기 입맛에 맞는 사실에만 눈길을 주거든.


그저 소설 속 한 대사일 뿐이라고 하기엔 뒷맛이 쓰다.

방대한 자료와 영상들이 쏟아지는 시대에서 우리는 그저 우리 자신에게 맞는 부분들만 선택해 취하는 것이 익숙하다. 그래서 더더욱 입맛에 맞는 사실에만 눈길을 주게된다. 하지만 과연 그것이 사람사는 세상에서 전부일까.

때론 아픈 진실이더라도 입에 맞지 않는 사실이라도 듣고 보고 생각하며 움직여야 하지 않을까.


추리 소설속 한 대사일 뿐이지만 많은 생각이 들게 한 대사다.

나와 아무 접전이 없는 사건이라도 진실이 파뭍혀있다면 적어도 그 사건의 당사자들이 하는 말을 들으려 노력은 해봐야겠다고, 억울한 이들을 그냥 지나치기보다 한번이라도 좋으니 그저 묵묵히 들어주기만이라도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소설 속 내용와 연관이 있기 보다는 저 대사 속에서 불연듯 느낀 나의 생각들이다)


원종대의 말처럼 '개성공단에 모든 것을 걸었던' 이들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

소설 속에는 여전히 개성공단이 있지만 지금 개성공단은 없는데...

소설이 아닌 현실 때문에 또한번 쓴 맛이 난다.


#제3도시 #정명섭 #스토어하우스 #한국추리소설 #추리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