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 어른과 아이가 함께 배우는 교양 미술
프랑수아즈 바르브 갈 지음, 박소현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0년 7월
평점 :

그림을 좋아하는 아이들과 종종 미술관에 갑니다.
아이들도 그림을 그리는 걸 좋아해서
그림 그리는 걸 가져오면
우와 대단하다 어떻게 이렇게 그릴 생각을 했지?
라며 감탄+칭찬을 날려주는데요.
늘 궁금한 것 한가지.
그림은 어떻게 봐야하는 걸까?!
명화 해설서 없이도
작가가 작품으로 전하는 온전한 메세지를
스스로 해석할 순 없을까?
아이들 그림에도 이쁘다 잘그렸다를 이상의
다른 피드백을 줄순 없을까?!
라는 오랜 갈증을 해결해줄 책을 만났습니다.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
입니다
미술 작품,
어떻게 감상해야하나요?
예술에 조예가 깊지 않아서
미술에 문외한 이어서
아이와 함께하는 미술관 관람이 망설여졌던
어른을 위한 미술 감상법에 관련한 책이에요
1부는 미술 안목을 기르는 법
2부는 실제 작품을 통해
미술감상하는 실전 훈련을 해볼 수 있어요.

글자는 생각이상으로 촘촘한데,
(거의 미술감상론_논문을 읽는 느낌!!)
한줄 한줄 공부하는 심정으로 읽다보면
나에게 보배가 될 그런 글들이에요.
이제는 단순히 그림 좋다, 맘에 든다를 떠난
작가가 전하는 진짜 메세지를 찾고&
감상평을 내놔야한다는 자기압박감을 벗어나
진짜 그림을 만날 수 있는 혜안을 배우는 느낌입니다
아이와 전시회에 자주간다면
반드시 읽어보시라고 추천드리고 싶어요.

숨은 이야기를 찾으세요
수세기에 걸쳐 수천 가지의 이야기가
그림으로 그려져 왔습니다.
그림을 본다는 것은
이런 이야기를 그림 속에서 알아보는 일이자
똑같은 이야기를 묘사한 다른 그림을 마주했을때
차이점을 알아채는 일입니다.
화가가 어떤 주제를 다룬다는 건
나름의 해석을 풀어놓는다는 의미거든요.
자유롭게 감상하세요
아이는 그림을 원하는대로 볼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면 날카로운 직관을 발휘 합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무엇인지,
단번에 눈길을 끄는 요소는 무엇인지 생각해보세요.
그림과 장소가 풍기는 느낌,
외면하고 싶을 만큼 불편하지만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느낌 등의 다양한 감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상투적인 설명을 피하세요
관람의 진정한 목적은
잘 그리고 못 그린 부분을 알아보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 입니다
한~~~~참이나! 이론 공부를 했는데,
막상 그림 앞에 서면 다 까먹을거 같다구요?
괜찮아요.
우리에겐 2부가 준비되어 있거든요.
5-7세, 8-10세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실제로 명화를 해석하는 사례들이 실려있거든요.
개인적으로 요 파트가 너무너무너무 맘에 들었어요!\\

성모의 결혼이라는 작품입니다.
아이와 눈에 보이는 사실부터 캐치해볼께요.
1. 결혼식을 올리고 있어요
2. 신랑 신부가 춤을 추고 있는 것 같아요
3. 요셉의 머리위로 꽃이 보여요
4. 왼편에 살짝 몸을 숙이고 있는 사람은 뭘 하나요?
이제 배경지식을 곁들여
엄마가 감상평을 더해줄 차례에요.
1. 우리는 요셉의 결혼식 장면을 보고 있어요.
2. 두 사람은 서로를 마주보며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어요. 이건 긴 여정끝에 마침내 하나가 돼 융합하는 모습을 상징하지요
3. 죽은나뭇가지에 꽃이 핀 것으로 하느님이 그를 기적을 행할 사람으로 선택했음을 알수 있어요.
4. 마리아에게 청혼한 사람들이 실망감으로 나뭇가지를 꺾고 있는 장면이에요. 마리아의 결혼식 장면에는 으레 한둘 등장하곤 한답니다.
이탈리아광장- 조르조 데 키리코
외에도 미켈란젤로, 에드가 드가, 빈센트 반고흐, 파블로피카소, 르네 마그리트 등 유명 30여명 작가들의 30개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어요.
그야말로 명화감상 이론+실전을 겸비한
교양미술 기초이론 실전서가 아닐 수 없지요~!
일방적으로 설명하기보다
아이 나름대로 그림을 포착해 낼수 있는
기회를 줄수 있는 아이주도 미술감상서
-아이와 미술에 대해 이야기 하는 법-
이번 여름 미술을 보는 안목을 기르는 법도 배우고
아이와 즐거운 미술관 관람으로 이어가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