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섭의 식탁 - 최재천 교수가 초대하는 풍성한 지식의 만찬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내가 재밌게 읽은 책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는데 주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잘해야 본전이기 때문이다. 내가 추천한 책이 분명 좋은 책이지만 상대방의 감성과는 맞지 않을 수도 있고, 평소에 생각하지 않던 주제에 대한 책이라면 상대방에게 공감을 얻지 못 할 것이다. 또한 내가 추천함으로서 책에 대한 기대가 자연스레 올라가게 된다. 상대방이 책에 만족하지 못 하게 되었다면 상대방의 부탁으로 추천을 했어도 미안한 감정을 갖게 된다. 책을 추천한다는 일은 어렵다.
저자는 유명한 학자이자 독서광이다. 그렇다고 해서 책을 추천하는 일이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유명한 통섭학자인 저자는 여러분야의 책을 자신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한 상차려내고 있다. 그의 서평을 읽다보면 읽고 싶은 책이 많아져서 걱정이지만, 그 책의 논점이라던가 생각할 거리 들을 던져주어서 종종 책장을 덮고 생각하게 만든다.
책의 구성은 실제 서양식 식단처럼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로 책의 경중도 그에 따라 분류되어 있어 조절해 가면서 책을 고를 수 있다. 추천해준 책을 읽고 거기에서 더 읽어볼 만한 책들을 추천해준다. 이 쯤되면 읽어보고 싶은 책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서 주머니가 가벼워 진다.
저자가 가장 골몰하고 있는 분야가 '통섭'이기 때문에 그와 관련되서 여러가지 요소들을 섞어서 책을 추천해주고 있다. 하지만 책들이 전반적으로 자연과학 서적이기 때문에 저자가 중요시하는 인문학과의 결합에 대해서는 의문이 간다. 잘 모르는 분야도 계속해서 읽다보면 지식이 쌓이고 관심이 갈 것이다.
저자의 필력은 어려운 책도 쉽게 소개해주고, 실제로 읽었었지만 그렇게 재미있게 읽지 못했던 책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싶게 만든다. 책의 전반적인 구성도 책을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게 도와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