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한 최소한의 통계 읽기 - 빅데이터 시대 데이터 문해력 향상 프로젝트
앨버트 러더퍼드 지음, 장영재 옮김 / 북스힐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포스팅은 북스힐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숫자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앨버트 러더퍼드 작가의 <나를 위한 최소한의 통계 읽기>는 데이터를 제대로 읽고 해석함으로써 보다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숫자는 진실을 보여주는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지만 잘못된 방식으로 사용되면 위험한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그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주장에서 타당한 주장을 찾아내고, 사실이라기에는 너무 좋아 보이는 통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또한, 진실일 리 없음을 아는 무언가에 대해 통계를 이용해 당신을 설득하려는 사람들에게 반박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데이터 문해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을 새삼 깨닫게 될 것이다. 데이터 문해력이란 정보로서의 데이터를 읽고, 이해하고, 창조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책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하는 과정을 비롯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다양한 척도와 시각적 표현, 그리고 통계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가 수많은 데이터의 폭풍우 속에서 표류하거나 난파되지 않고 제대로 된 길을 찾기 위해서는 제시된 통계 수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단 비판적인 시각과 해석을 통해 그 뒤에 숨어 있는 함의를 찾아내야 잘못된 통계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숫자는 강력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하만, 그 설득력을 남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광고주는 소비자가 비판적으로 생각하지 못하도록 통계를 단순화하거나, 극적인 숫자만을 강조한다. 또한 정치인은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통계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나를 위한 최소한의 통계 읽기>는 우리가 이러한 숫자 신봉주의를 경계하도록 일깨워 준다. 데이터를 읽고 해석할 때 항상 의심하고, 다양한 질문을 던져야 하며, 올바른 대안을 찾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히 통계를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우리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데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우리가 알든 모르든 간에, 데이터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고 우리에 관한 데이터가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다며, 데이터의 힘을 활용하고 통계가 우리를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배우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살아가면서 우리는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그 데이터가 무엇을 말해주는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 수 있는 통계 분석 능력이야말로 데이터 문해력 시대에 꼭 필요한 스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책 <나를 위한 최소한의 통계 읽기>는 우리가 숫자의 함정을 피하고, 타당한 통계와 잘못된 통계를 구분할 수 있도록 돕는 통계적 문해력을 기를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을 읽어봐야 할 이유는 명확해진다. 이 모든 것이 올바른 선택을 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 출처 : 박기자의 끌리는 이야기, 책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