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들의 죽음 - 소크라테스에서 붓다까지 EBS CLASS ⓔ
고미숙 지음 / EBS BOOKS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에서 해방되어야 삶 또한 충만할 수 있다!'


철학적이면서도 현학적인 이 말을 곱씹어 읽어 보고 생각해 보니, 광화문광장에서 칼을 타고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는 이순신 장군이 떠오른다.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 때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고자 하면 죽으리라.(必死則生 必生則死)'라는 말을 좌우명처럼 여기고 살았는데, 승전보를 올리기 위해 병사들을 독려할 때 이 말을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산다는 건 뭘까?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생각의 늪에 빠져서 잠 못 이뤘던 때에 이런 말들이 떠오르며 무수히도 많은 공상의 나래를 펼치곤 했었다. 지난해 삶의 끈을 그만 놓아야겠다는 생각이 불쑥불쑥 들었던 때가 있다. 모든 것들이 의미 없고 산다는 건 뭔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연한 두려움이 앞섰던 때가 있었다.


그 당시에 <현자들의 죽음>을 읽었다면 어땠을까? 늪에 빠져 허우적거리기 바빴고,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이래도 그만 저래도 그만이었던 때에 말이다. 이 책의 저자인 고미숙 고전평론가는 죽음을 모르면 삶에 대해서도 알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녀는 ‘어떻게 살 것인가?’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와 분리될 수 없는 법이라며, 고로 생사는 하나라고 강조했다. 동서양의 고전이 수천 년간 이어온 진리인 이 말의 뜻을 저자는 그 지혜와 방편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라고 말했다.


이 책에는 소크라테스, 장자, 마하트마 간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사리뿟따, 붓다까지. 총 8명의 현자들이 등장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뭘까? 고미숙 고전평론가는 딱히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은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란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저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이 8명은 죽음을 두려운 존재로 마주하는 대신, 벗으로 동반자로 때로는 생의 이면으로 생각했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죽을 수 있는 존재로 살아간다는 것'은 참 멋진 패러독스라며, 자신처럼 60대에 들어섰다면 인생 3막을 청년기, 중년기 못지않은 시간을 살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자들의 죽음>은 8명의 선인들을 통해 다양한 철학적 주제와 인문학적 통찰을 담아냈다. 이 책은 고대와 현대의 철학자들과 현자들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삶의 의미와 인간의 본질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했다는 점에서 50~60대라면 필수로 읽어보길 추천드린다.


물론 30~40대들도 죽음은 나랑 상관없다고 방관하지 말고 이참에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현재를 좀 더 의미 있게 살길 바란다. 특히 이 책에서 저자는 죽음에서 해방되어야 삶 또한 충만해질 수 있다며, 죽음에 대해 명랑하면서도 심오한 탐구 결과를 소개했다.


저자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주제를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 보길 희망하고 있다. ▲삶과 죽음의 철학, ▲지혜의 전수, ▲인간의 본질 탐구, ▲역사와 철학의 연관성, 그리고 ▲삶의 가치 재정립이다. 이 5가지 주제에 대해 한 번쯤 깊이 고민해 보고 어떻게 살 것인지, 어떻게 죽음과 마주할 것인지 생각해 보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은 EBS BOOKS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작성했다.



* 출처 : 박기자의 끌리는 이야기, 책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