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플랫폼이 온다 - 디지털 패권전쟁의 서막
윤재웅 지음 / 미래의창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년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덮쳤고, 6개월이 지난 마스크 착용은 필수품이 되었다. 이로 인해 오프 모임 대신 언택트(Untact, 비대면)가 대세로 떠오른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디지털 플랫폼의 영향력은 한층 더 커졌고,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에 기반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 주는 플랫폼 비즈니스는 시장을 장악했다. 


전자상거래, 검색, 클라우드, SNS 등 인터넷과 연결된 다양한 영역을 통해 강력한 플랫폼을 구축한 아마존,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같은 기업들은 성장세에 가속도를 붙이고 있다. 이들 기업들이 21세기 첨단산업을 주도하게 된 배경에는 플랫폼이 있다. 이들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IoT(사물인터넷), 3D 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더 거대해지고 있다.

중국 역시 제조 대국에서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경제로 진화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이로 인해 디지털 플랫폼에 기반을 둔 혁신기업들의 영향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이제 중국의 경제구조는 수출, 투자에서 내수 서비스업 중심으로 급선회하고 있다. 미국의 비즈니스 모델을 따라하던 IT 후발주자였던 중국이 이제는 모방에서 자신만의 플랫폼을 가진 혁신 제국으로 성장했다.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는 판매자와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직접 거래를 할 수 있는 플랫폼 시장을 만들었고, 텐센트는 우리나라의 카톡 같은 메신저 앱인 위챗을 통해 중국인들의 생활방식을 바꿨다. 중국 최대 차량 공유 업체인 디지추싱은 9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보이며 모빌리티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글로벌 1위 핀테크 기업이 된 앤트파이낸셜은 중국을 현금 없는 사회로 바꿔가고 있고, 바이두와 진르터우탸오는 검색과 뉴스 영역에서, 중국판 넷플릭스인 메이퇀뎬핑과 어러머는 배달 앱 시장을 장악하고 O2O(Online to Offline) 시장의 실력자로 급성장했다.

중국에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거의 모든 것들이 플랫폼에서 제공되고 있고, 새로운 서비스들 역시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차이나 플랫폼은 더 이상 중국 내수시장에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제조 기반의 하드웨어 부문을 넘어 플랫폼과 같은 IT 서비스 부문으로 확장 중이다.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로 1세대 중국 IT 기업들이 미국 기업들을 모방해 내수시장으로 몸집을 키웠다면 15초 동영상 공유 앱인 틱톡(TikTok)으로 전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바이트댄스 같은 2세대 IT 기업들은 내수시장에서만 9억 명이 넘는 인터넷 사용자를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이러한 중국 시장의 변화와 소비자의 트렌드 변화는 전 세계 시장은 물론 한국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 유통 시장이 모바일에 기반한 플랫폼 비즈니스로 완전히 재편되는 동안 한국은 과거 중국의 OEM(주문자상표 부착 생산) 특수로 인한 성장세에 취해 있었다. 한류의 인기에 편승해 화장품과 음식료 등이 인기를 구가했지만 옛말이 되고 있다. 

중국은 전자상거래, 핀테크, O2O, 모빌리티 등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 시장에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차이나 플랫폼이 해외 진출을 가시화하면서 국내 시장을 위협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경제도 많은 타격을 받고 있지만 언택트 소비가 늘어나면서 업무용 SNS와 온라인 교육 플랫폼 서비스가 급증하는 등 디지털 플랫폼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의 플랫폼 경제 확산이 한층 가속화되고 있어 중국 경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이나 플랫폼에 대한 이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 경제가 양적 성장과 질적 혁신을 통해 플랫폼 제국으로 진화하는 대변화기를 맞고 있어서 한국 경제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서는 차이나 플랫폼이라는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야 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 플랫폼의 특징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소비자 지향형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플랫폼은 전자상거래, SNS, 핀테크, 공유경제 등 소비자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서비스에 최적화되어 있고, 개인의 소비생활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 책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이 지배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차이나 플랫폼을 좀 더 쉽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한국이 저성장 구조에서 탈피하고 새 성장 동력을 모색하려면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타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