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1 | 312 | 313 | 3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하루 15분 책읽어주기의 힘 - 아이의 두뇌를 깨우는
짐 트렐리즈 지음, 눈사람 옮김 / 북라인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워킹맘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가 어렸을때 그저 엄마에게 맡기고... 아이가 책을 읽어달라고 할때는 피곤하다고 3번에 2번은 거절을 한 나를 후회했다.. 조금더 일찍 이책을 만났더라면... 

아나운서를 꿈꾸는 딸에게 어휘력이 약하다고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며 책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만 만족했던 나를 반성하게 만든다... 

아이가 흥미를 느끼지 못해 약간 따분해 하는 한국사 책을 읽어주기로 맘 먹었다...  5학년인 딸아이가 얼마나 기뻐하던지.. 책을 읽어주면서 서로 이야기를 하면서 모르는 단어를 설명도 해주면서.. 어째 시간이 지나면서 나는 철부지 엄마였는지 딸아이에게 미안해지는 일만 생기는지 모르겠다... 

아이와 나를 바꾸는데는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치 않는다.. "책 읽자!"라는 말 한마디면 딸아이는 초롱초롱하게 눈을 뜨고서 0.1초 만에 자신의 두뇌를 깨울 준비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살의 흔적 - 죽음과 의혹에 현직 법의학자들의 현장 리포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법의관들.강신몽 지음 / 시공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초등학생때에는 셜록홈즈에 열광했다.... 

친구에게 있는 그 얇은 책이 왜그리 부러웠는지... 어쨌든 난 셜록홈즈가 좋았다... 

 중학생시절에는 아가사 크리스티의 "오리엔트 특급살인사건"이라는 영화를 접하고선 그녀에게 포옥 빠졌다. 책을 사서도 읽고 또 읽고....  

어쩜 그렇게 추리라는 장르에 서서히 빠져들었나 보다... 지금은 CSI 과학수사대에 열광하고 있다. 지금 잠시 시즌이 끝이 나서.. 한창 무료해 있을때... 이 책을 만났다... 

언제나 그랬지만 제목이 날 자석으로 끌어당기듯 확 끌어당겨서 며칠을 도서관에서 찾아헤맸지만 찾을수가 없어서 결국은 구입을 했다.(딸아이의 책을 먼저사는 이시대의 학부모의 현실이다.)  

CSI에서 늘상 보던 검시관(표현이 맞나?)에 매력에 빠져본다. 

어쩜 타살이란 슬픈일이다... 남에 의해 자신의 생을 끝마쳤을때 검시관이란 사람은 그 흔적을 쫓아서 억울함을 풀어줄수 있는 이가 아닐까 싶다. 어딘지는 모르지만 태어난것보다 죽음에서 가장 축하해야 한다는 것을 얼핏 본적이 있다. 이 험한 세상을 잘 살다가 잘 마무리 함에 있어서 우리는 축하를 보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렇게 가장 중요한 시점을 남에게 의해 본의 아니게 마무리를 하게 되었을 때에도 그 과정을 거짓없이 밝혀주는 과정이 부검이 아닐까도 싶다.  

내게도 다시 삶을 살 기회가 주어진다면 증거를 쫓는 과학수사대나 아님 법의학자를 한번 선택하고 싶다. 한번뿐인 내 인생에 왜 이리 하고 싶은것이 많은지 모르겠다... 

 이 책에는 다소 어려운 용어들이 많이 나온다...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괜찮겠지만 흥미가 전여 없는 사람에게는 조금 따분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태자비 납치사건 - 개정판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국제 도서전을 방문했을때 한 코너에서 그야말로 마음에 '확' 끌리는 제목의 책을 만났다... 

그리고서는 다시 김진명이라는 작가를 만났다... 

대학다닐적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소설을 읽은 것을 기억한다... 

일본황태자비가 납치된다.아주 교묘하게... 

배경이 일본으로 시작해서 조금은 불쾌했다...  

그리고 범인으로 한국유학생이 지목된것에 조금은 맘이 상할라 했다. 

허나~ 역시 나도 한국인지라 매우 타국의 황태자비를-비록 납치를 했지만- 

예의를 갖춰 대하는 것에 납치범이지만 자랑스러운..... 

명성황후를 시해할 당시 보고문을 밝히라는게 납치범이 요구한 것이 전부다... 

글을 읽어 내려가면서 어찌 한나라의 국모를 시정잡배를 난입시켜 잔인하게 그리고  

함부로 대할수 있었는지 분노가 치밀어 올랐다... 소설속 허구 이야기이지만 납치범은 

타국의 황태자비에게 예의를 갖추웠다. 그런 행동에 황태자비도 납치범의 의도를 

파악하고 왜곡된 교과서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을 했다... 

하지만 과거 우리 국모는 어떠했는가... 

죽어가면서도 "세자"를 걱정했던... 그리고 나라를 걱정했던.... 

한나라의 국모를-단, 명성황후뿐만이 아니라 조선전체를-어찌 이렇게 함부로 대할수 

있단 말인가.. 이는 실로 야만인이 아니고서는 할수 없는짓이 아닌가.... 

책을 읽는 내내 분함을 억제할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중1 세트 (최신판, 전3권) (특별부록 :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100% 활용하기) 국어 교과서 작품 읽기 시리즈
김규중 외 엮음 / 창비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5학년 딸아이가 교과서에서 <로빈슨 크루소>를 배우면서 로빈슨은 뭐 하는 사람야?라고 물었다.. 의사였나? 그건 걸리버였나? 아무래도 전문을 읽는 편이 낫겠지?? 예전에서 '삼대'라는 소설이 교과서에 나왔을 때 선생님들도 꼭!!! 읽기를 권하셨다. 딸을 위해 구입을 했지만.. 내가 먼저 읽으면서 옛 추억을 떠올리기도 했다. 여전히 <동백꽃>이나 <학>은 실려있어서 좋았다.. 우리딸도 방학이 되면 찬찬히 읽었으면 좋겠다.. 

 이 책 덕분에 예전에 배웠던 작품들이(제목은 가물가물하지면) 새록새록 떠오른다... 닫아 두었던 옛창고문을 열어서 하나하나 옛기억을 떠올리면 어느세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읽었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책에 매우 많이 심취해 있었던 기억이 있었다... 

그리고 얼마전 "국제도서전"에서 확 끌리는 제목으로 다시 '김진명'이란 작가를 만날수가 있었다. 

가장 좋아하는 작가로 뽑는 사람이 '댄 브라운'이다. 뒷이야기가 궁금해서 감기는 눈꺼풀을 들어올리면서 봤던 '다빈치 코드'!!! 다시는 책을 보면서 그런 열정을 느끼게 해줄 이는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말이다... 다시 그런 작가를 만나 매우 기쁘다... 더욱이 다시 생각을 하게한 우리민족의 역사!!  

 나라의 국명을 지을 때 화려한 과거를 계승하려 했다는 이유때문에 '한'에 얽힌 옛 화려한 역사가 있을거란 믿음... 우리의 옛 역사를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고... 손에서 떼어놓고 싶은 책이 아니었던 것 같다.... 왜, 우리나라에서는 단군할아버지만을 조상으로 내세웠을까... 

왜 국사를 입시과목에서 필수로 선택하지 않는지 불만중에 불만이다. 민족을 뿌리를 모른데서야 될까싶다.. 모든 국민이 역사학자가 되는 것을 원치는 않는다.. 그저 과거 한반도에는 어떤 나라가 있었고, 수도가 어디였었는지... 나를 알듯이 내 나라를 알고있었으면 좋겠다... 

'천년의 금서'가 내게 준 역사의 호기심! 고조선 이전의 훌륭했던 역사를 따라 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1 | 312 | 313 | 31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