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부산, 사람 - 50편의 시와 사진으로 만나는 부산 그리고 사람
최주식 지음, 임재천 사진 / C2미디어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온, 살아왔던 부산이라는 곳을 다른 사람의 눈과 말로 다시 만나는 것은 특별한 경험이었다. 그곳에서 나는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 했고, 누군가를 하염없이 기다리기도 했으며, 미련 없이 돌아서서 다시는 돌아가지 않으리라 다짐하기도 했다. 광안리 바다 멀리 오징어잡이 배들의 불빛을 바라보며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던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최주식 시, 임재천 사진의 <부산, 사람>은 그런 시간을, 그 다정하고 쓸쓸하고 또 외로웠던 부산의 냄새를 물씬 풍기는 책이다. 부산의 짠내 나는 시간이 오롯이 이 책 속에서 걸어 나와 물기를 뚝뚝 떨어뜨리면서 내 앞에 나타났다.

------
아카시아집 이송도를 불어오는 바람, 담배연기를 짧은 한숨처럼 내뱉으며 걸어가 보면 햇살이 바다를 잘게 부수고 있는 것을 본다 그러면 내 눈에도 금이 가는 것 같아 찝찔한 것이 나오는 것 같아 외면하고 걸어야 한다 그러다 해안선을 따라 낮게 포복하는 순간이 온다 어디쯤인가 아름다운 생의 작별하기 좋은 바위가 바다에 빠진 해를 다시 건져 올리고 있는 것을 본다

붉은 해가 떴습니다

자리에서 일어나야 한다
첫차가 올 시간이다

최주식, <이송도에서>
-------

막상 출간된 책을 받아 들자마자 밀려든 것은 부채감이었다. 오랜 시간 나를 길러냈던 정서가 가득 담긴 책을 마주하는 것이 나는 더없이 기쁘고, 쓸쓸하고, 고마웠다.

부산이라는 장소가 이러한 아우라를 가지게 된 것은, 그 속에서 한 시대를 살아냈던 수많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나도 그 수많은 사람 중 하나일 터. (나도 그 속에서 울고 웃고, 싸우고, 되돌아서고, 광안리 바닷가에서 술 마시고 소리도 질러보고, 불 꺼진 전포동 거리를 아주 천천히 걷기도 하고, 을숙도 갈대밭을 걷기도 하고, 영주동 산복도로 꼭대기에서 한참을 내려다보기도 했다. 그게 부산이었는지, 바다였는지, 끝을 모를 내 마음이었는지, 아니면 그 모든 것이었는지 모르겠지만.)

<부산, 사람>은 부산을 추억하는 것이 아니라 나를 호명하고, 나에게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너는 지금 어디에 서 있느냐고, 아직도 뜨거운 그대로인 거냐고, 바다 냄새가 지랄맞게 그리우면 한번 찾아오라고. 나는 아주 멀리 다녀왔으나 여전히 뜨겁고, 지랄맞게 그립다. 그러니 이것은 과거가 아니다.

이 책이 어떤 질문을 당신에게 던질지, 그래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누가 알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ITE
김주원 지음 / FOTASIA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은 풍경을 지워버린다. 폭설이 휘몰아치는 순간은, 특히 그렇다. 사람이 죽음 직전에서야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깨닫는 것처럼, 폭설이 내리는 풍경은 나와 대상 사이 다른 것을 모두 지워버린다. 오로지 나와 너만 남는다. 날 것으로서의 서로의 존재를 대면해야만 하는 순간이 폭설 속에 있다.

 

김주원 작가의 <WHITE> 작품들은 단지 풍경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풍경 속에 있는 모든 존재들의 경계가 지워지는 순간을 포착한다. 삶과 죽음, 슬픔과 기쁨, 있음과 없음의 경계는, 폭설이 내리는 순간 흐릿해진다. 경계가 흐릿해질 때 우리는 경계 너머로 서로를 들여다볼 수 있다. 삶이 죽음을, 죽음이 삶을, 슬픔이 기쁨을, 기쁨이 슬픔을, 있음이 없음을, 없음이 있음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폭설 속에 홀로 서 있는 어린 소나무를 만났을 때, 가슴 찡한 여운과 감동을 발견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김주원 작가는 이 장면을 두고두고 곱씹었을 것이다. 폭설이 내리는 한 가운데에서, 그리고 마음 속에서 쏟아지는 그 모든 것 속에서.

 

나는 너를 들여다보고, 너는 나를 들여다보는 것.

 

그 속에서 의미는 폭발한다. 그리고 우리의 삶도 폭발한다. ‘, 거기 있구나.’ 이 한 마디 속에서 나를 대면하고, 발견하는 순간. 폭설이 내리는 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골목박물관, 한 권의 책이 되다 마을아카이브 3
골목잡지 사이다 엮음 / 더페이퍼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의 진심, 누군가의 이야기. 누군가의 사랑. 누군가의 세월. 마음을 깊이 울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안녕, 도룡마을 마을아카이브 1
골목잡지 사이다 엮음 / 더페이퍼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마을에서 평생을 함께 산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요즘은 모두 각자의 집에서, 각자의 방에서 격리되어 살아갑니다. 

가족끼리 얼굴보기도 힘든 세상이죠. 

코로나 때문에 서로 얼굴 마주하기 어려운 시절이기도 하고요. 


한 마을에서 평생을 살면 서로 좋은 꼴, 나쁜 꼴 모두 보게 됩니다. 

한 맺힌 일들도 있을 거고요. 잊을 수 없는 친구도 있을 거에요. 

하지만 평생을 살아온 사람과, 평생을 걸어온 길과, 평생을 두고본 풍경을 잃고

모두 뿔뿔히 흩어진다는 것은 너무나 큰 고통일 겁니다. 

특히나 나이든 어른들인 경우에는 더 그럴 거에요. 


도룡마을 어른들은 모두 이사나가는 마지막 순간까지 

모임을 정해서 꼭 정기적으로 만나자고 약속합니다. 


사람 사는 일, 사람 사이에서 사는 일인 겁니다. 

그림같은 풍경도 함께 할 이웃이 있어야 아름다운 거죠. 

도룡마을 주민에게는 기억을 곱씹을 수 있는 책이겠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인간으로서 어떻게 아름답게 사는가를 느낄 수 있는 책입니다. 


사연마다 슬프고 아쉬움도 있지만, 아름답고 재미난 이야기도 많습니다. 

함께 울고 웃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저는 몇권 선물도 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제 안녕, 도룡마을 마을아카이브 1
골목잡지 사이다 엮음 / 더페이퍼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산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우리는 이렇게 살아도 되는 걸까.
사라지는 마을 앞에서 도룡마을 주민들은 모두 눈시울이 붉어졌습니다.
책을 읽어보면, 그 붉어진 눈으로 우리에게 묻는 것 같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사람답게 사는 게 어떤 건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