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 바르트 - 20세기 신학의 교부, 시대 위에 우뚝 솟은 신학자 ㅣ 하나님의 사람 14
에버하르트 부쉬 지음, 손성현 옮김 / 복있는사람 / 2014년 1월
평점 :
칼 바르트의 제자 에버하르트 부쉬의 글이다. 이 책은 칼바르트에 대한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조명하여 그 사람을 기리기 위해서 쓴글이다. 칼바르트는 어렸을때는 자신이 생각치 못했겠지만, 지독하리 만큼 자유주의 사상에 물들어 있던 자이었다. 칼바르트의 아버지는 프리츠 바르트로 신학을 하였지만, 당연시 여기기 쉬울 만큼 자유주의 사상에 심취했던 사람이었다. 칼바르트는 그런 배경에서 컸고 아버지 영향 아래에서 컸다. 또한 헤르만과 하르낙이라는 자유주의의 걸출한 신학자 밑에서 제자가 되어 공부를 했던 사람이었다. 칼바르트는 또한 젊은 나이에 사회주의 진영에서 자신의 사상을 전개해 나갔고 급진적인 정치적인 사람이었음에는 틀림이 없다. 그가 바랬던 세상은 아무래도 자본주의의 악이 제거된 밝은 사회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생각과는 다르게 갔고 그가 바라던 대로 가지 않았다. 칼바르트는 자신이 살았던 스위스 동네에서 보다 교수로 초빙됬지만 거부했고 자신의 고향에 대한 안좋은 기억이 많다. 칼바르트는 자신들의 스승이 전부 나치에 가담했고 그 충격으로 인해서 그들을 거부하기 시작했다. 그와 더불어 칼바르트는 블룸하르트라는 목사의 설교를 듣고 감화 받아서 자신의 사상을 전부 뒤엎고 자유주의에서 경건주의로 돌아가게 되는 근본적인 계기가 되는 로마서 강해를 쓰게 되었다. 현실 기독교에서 우리나라 합동측과 고신측이 상당히 칼바르트를 비판하며 나오는 이유중의 하나가 개인적인 생각으론 그의 사상보다는 칼바르트를 추종하는 세력에 대한 반감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칼바르트는 자신을 칼빈의 제자라고 표현 하기 까지 하며 경건에 힘을 쓴 보수적인 사람임에 틀림없다. 그가 제시하는 모든 사상에는 동감하지 않지만, 그가 주장하는것 중에서도 하나님의 뜻이 있음을 부인할수가 없다. 칼바르트는 괴팅엔대학교에 먼저 초빙되어 많은 나날을 보냈고 그에게 많은 제자들이 있었다. 또한 본대학교에서 보낸 시절이 있었고 바젤대학교까지 자신의 학적인 생활을 많이 유지해나가며 살아갔다. 칼바르트의 생애중에 거의 절반이상이 교회교의학을 쓰는데 보냈다는 것을 여기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자신의 모든 생애를 덮고도 남는 분량의 책을 쓰기 시작했고 그 책은 세상을 바꿨다. 먼저 로마서 강해로 세상을 바꾸었다고 보는게 맞지만, 난 이책이 다시 세상에 읽혀지기를 바라고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9200페이지 가량의 분량의 책을 연구하기도 생각하기도 매우 어려운 작업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누군가가 그일을 해야 하는것이다. 참고로 이책도 850페이지 가량의 책이라서 읽는데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책이다. 칼바르트는 생각과는 매우 다르게 이 책에서 보이는 면은 괴팅엔에서부터 보수주의적인 생활을 유지해나가며 경건에 힘쓰는 모습을 보였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칼빈의 사상을 강의하는데 많은 힘을 썼고, 에큐메니컬 운동에도 힘을 쓴 사람이다. 칼빈과 루터에 대해서 상당한 힘을 써 생각해나가며 여타 교리에 대한 반감보다는 발전으로의 힘을 쓰기에 노력했다. 자신의 생애중 거의 대부분을 교회교의학을 썼지만, 이 교회교의학도 맨처음에는 그리스도 교의학이라는 이름을 거쳐 교회교의학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교회교의학은 다시 읽혀져야 되고 읽어야만하고 누군가가 번역을 해야되는 책이다. 칼바르트는 많은 부분에서 자신의 정치적 일들을 많이 하게 되었다. 자신이 이야기 하는 목사는 한손에는 성경책과 한손에는 신문이 들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가 있었다. 그와 마찬가지로 바르멘 신학선언과 에큐메니컬운동 사회주의가담 초핑기아 회원등의 모든 일들을 겪으며 살아갔다.
한사람의 인생이 전부 기록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책을 읽으면서 느끼는점은 칼바르트는 정말 자신의 영혼을 불태울정도로 신학에 몰두한 사람이라는 것임에 틀림이 없다. 교회교의학을 쓰기 위해서 자신의 생을 다 바쳤다고 이야기 해도 과언이 아니고 정말 열정적이게 자신의 생을 살았다. 그가 쓴 책은 거의다가 두껍고 재미 있는 내용들이 많다. 나도 그 여정을 나가기 위해서 이 책을 읽었다. 그러나 그가 비판 받아야 하고 비판받아야 하는 이유는 바로 자신이 엄청난 비판을 쏟아내고 사람들에게 수정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경건주의뿐만 아니라 자유주의에 대한 전반적인 비판이라고 해야 한다. 하나님에 대한 인간성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을때는 그의 과감성은 어쩌면 대단하다고 느껴져야 한다. 신학자가 신성모독이라는 잘못된 일을 할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학을 전개해 나가는데 거침이 없이 하는 그의 모습은 단연코 열정적이었따. 자유주의의 거성 슐라이어마허와 그는 평생을 싸웠다고 이야기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를 비롯한 불트만 학파와의 사람들과도 불트만과도 항상 대화하며 이야기를 나누었던 사람이 칼바르트이다. 그의 밑에서 공부한 사람은 에버하르트 융엘, 본회퍼 등 시대를 개혁한 신학자들을 배출해냈고 엄청난 이야기가 오간것으로 안다. 자연신학을 거부하려던 것을 비판하는 에밀 부르너와의 대화에서도 Nein이라고 아니라고 대담하게 말하는 신학자였다. 그의 신학은 깊이가 깊으면서도 광대했다. 자신도 실존주의 철학에서 비롯하는 신학을 전개해나가고 있지만, 실존주의 철학가 하이데거로 비롯한 불트만의 신학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도전을 하는것은 무리라고 이야기 하기도 했다. 그보다 뛰어난 신학을 전개한 사람이 없다면 어쩔수 없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그러나 실존주의 신학에 대해서는 커다란 의문을 가졌고 여타 자유주의 신학에 대한 커다란 질문을 남긴채 모든것이 무로 돌아가는 행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경건의 길을 걸어가는 복음주의의 한 거목임을 부인할수가 없다.
칼바르트를 비판하자면 많은 비판을 하고 싶지는 않다. 왜냐하면 이미 모든 사람이 비판을 받고 있는 사람이기때문이다. 교회교의학이라는 거대한 저작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많은 비판을 남기는 이유가 그가 한 행위때문이라고 이야기 하고 싶다. 그는 열정적이다. 그러나 덤벙댄다. 이 책에서는 학생들을 가르키는데 이 천재가 매우 덤벙댔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그는 기억력이 좋지 않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냥 일필휘지 하나의 내용에 글을 쓰는 천재적 유형이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그는 너무나도 많은 글을 써서 뒤에서 평가가 좋지 않는 유형중의 하나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를 연구하려면 아직 남은 200년 이상의 기간이 지나야 제대로된 평가를 받을만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코넬리우스 반틸은 그의 책을 읽지도 않았고 그저 그를 추종하던 자유주의 세력들이 하던 얘기로 그를 보았고 그에 대한 오해만 주구장창 하는 사람이었다. 바로 그 이유가 그의 책을 읽을 엄두가 잘 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아주 힘들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매우 어려운 이야기를 그렇게 길게 쓰니 니체라는 사람도 100년이 지나야 자신의 진가가 드러난다고 이야기 했지만, 그는 그 당시에도 대단한 사람이었지만, 향후 몇년간 아주 중요한 인물로 부각될 인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불트만은 하나의 넘어야 할 산으로 인식되고 넘어가버린 사람인 케제만과 같은 신학자가 이미 존재한다. 칼바르트의 신학시절 강의를 하면서 듣는 학생은 많았지만, 그에 대한 사상을 제대로 물려받은 신학자는 그다지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불트만과 같이 대단한 신학자들을 남겼다기 보다는 그냥 다른 사상을 이야기 하는 신학자들만 배출해 낸 사람이다. 칼바르트 한사람을 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그럴러면 이 많은 텍스트를 하나하나씩 격파 해 나가야 되는 임무가 주어져 있음을 인식해야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