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이책에서는 니체의 섬세함이 들어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려한다.
이책은 니체에 대한 섬세한 원문에서 볼수 있는 단어 선택들의 유려함은 담아있지 않다.
혹여나 있을 니체의 사상들의 핵심이 있다고 보기에도 아주 어렵다.
위버멘쉬, 영원회귀, 힘에로의 의지 이 핵심 사상을 제대로 다룬다기 보다는
그저 훑고 자신이 보았던 니체의 시선만 집중한체 한 챕터만 다룬다.
특히 국가라는 이야기에서 더더욱 심해진다.. 그로인해 니체가 이야기 하려했던
말보다는 그저 자신에게 인상깊었던 내용으로 이책을 채워 나간다.
우리는 이책을 이해하기 보다는 리라이팅이라는 고병권의 사상을
이해하려한다기 보다는 니체라는 큰 산을 넘어가기 위한 입문서를 원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사람은 그렇지 않다. 니체라는것이 이사람에게 휴식이었듯
모든사람이 니체를 잘 알지 못하듯 고병권이라는 사람의 책은
고병권 자체의 책일뿐 니체와는 전혀 관계가 없을 뿐이다.
이책이 어렵게 쓰여지고 이해하기 어려운사람이 많았다면
입문서로서의 자격도 의문스러워지는 대목이 아닌가 싶다..
과연 입문서가 이해하기도 어렵다면, 자신의 사상을 펼치기에 급급하다면
원문에 나와있는 제대로된 내용이 쓰여지지 않았다면 이것이 과연
니체에 대한 입문서!라고 이야기 할만한 가치가 있는것인가에 대해서
고병권 아저씨는 자문해봐야 할것이다.
다시 읽혀지기 위한다기 보다는 이것은 고병권의 휴식처인 니체라는
철학자의 개인적인 바램이나 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