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욕망과 권태 사이에서 당신을 구할 철학 수업 ㅣ 서가명강 시리즈 18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쇼펜하우어라는 철학자에 대한 박찬국 교수의 강의를 모아놓은 글을 책으로 펴낸 책이다. 1부 사는게 고통이다에서 염세주의가 된 쇼펜하우어에 대한 역사에 대해서 설명한다. 부자의 아들로 태어난 쇼펜하우어는 아버지의 모든 재산을 물려받았고 어머니도 아주 유명한 작가로 소개된다. 어머니로 인해서 인간에 대한 회의를 느꼇고, 그것인 염인주의로 이어가는 여자에 대해서 혐오를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라이프니츠는 세계의 질서를 보고 아름답다고 느꼇고, 그에 반해 쇼펜하우어는 세계를 가장 악한 질서를 가진 아주 더럽고 추악한 것으로 보았다. 쇼펜하우어의 일화중 가장 유명한 일화는 자기 개를 헤겔로 불러서 헤겔같이 돈장사하는 철학자를 비난 하며 자기도 똑같은 시간에 강의를 열정도로 경멸했고, 자기 개를 헤겔로 불러 화풀이 하려고 불렀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그 헤겔이라는 개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 인간보다 개가 낫다고 찬양하게 되는데 그런 사람이 쇼펜하우어 였다. 사실 쇼펜하우어가 자살을 독려하는데 유용한 철학자라고 오해 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런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2부 고통의 늪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에 대해서 나오는데 인간이 욕망이라는 늪에 빠져서 부자가 된다 한들 그사람이 좋아지는게 아니라 권태에 빠져 더 힘든 삶을 살게 된다고 이야기 한다. 부자가 되는 삶에 대해서 좋다고 여기는 사람은 이 사람의 글을 보면 그게 그렇게 좋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쇼펜하우어는 이 욕망과 권태사이의 추의 이동으로 보여지는 삶에서 의지의 작용을 거부하는 삶을 권유하고 있다. 그 거부의 삶은 미적으로 충만한 조각 미술품에 대한 아름다움을 보는 것으로 첫째로 말하고 있고, 두번째로 음악이라는 의지의 즉자태를 즐기면서 살라고 이야기 한다. 세번째로 가장 인상적인것이었지만, 기독교에서 세상과 등지면서 사는 의지를 거부한 신부와 같이 사는 것을 권유했다. 불교를 더 좋아해서 열반에 이르는 승려의 삶을 권유했다. 맹목적인 의지를 원하는 삶은 항상 최악이라서 이 의지의 삶에서 벗어날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이 의지에서 벗어나는 삶을 자살이라고 이야기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의지에서 벗어나는 것은 자살이 아니라 승려와 신부로서의 삶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이야기 한다.
사실 쇼펜하우어는 내 삶이 지나치리만큼 고통스럽고 괴롭기에 읽기 시작한 책이었다. 그러나 이 사람으로 통해서 고통의 양이 줄어들거나 그삶이 즐거워 지는게 아니라, 우리가 살아야 할 인생의 방향을 통해서 더없는 좋은 삶이 무엇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사람이라고 여겨진다. 쇼펜하우어는 장한나라는 지휘자를 통해서 더알게 되었는데, 참 좋아하는 철학자라고 생각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쇼펜하우어를 알면 알수록 더 위대한 철학자라고 여겨진다. 사실 헤겔과 쇼펜하우어를 비교하는 사람이 많은데, 쇼펜하우어의 자신의 자존심을 지킨것을 훌륭하게 평가한다. 물론 찌질이 같고 한심하고 세상을 싫어하고 자신의 의지로 인해서 벌어질 아무것도 아닌것의 삶에 대해서는 숙고를 해봐야겠지만, 더없는 의지에 대한 거부로서 사는 삶은 나쁜것이 아니라 오히려 세상의 빛이 된다는 사실에 더없는 기쁜 생각을 하게 되었다. 우리의 맹목적인 의지는 세상을 좋게 한다기 보다는 더없이 추악하게 한다는 사실은 공감하게 했다. 이 맹목적인 의지를 배워서 힘에로의 의지를 이야기 하는 니체에게는 세상을 긍정해 고통을 이길 무언가를 이야기 하는 면에서 유익했지만, 쇼펜하우어는 승려와 신부와 성직자로서의 삶을 권유함으로서 우리의 의지를 거부하는 삶이 더없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함으로 나는 더없는 위로를 받았다. 사실 쇼펜하우어의 책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읽으면서 미학 부분이 무슨 이야기인지 잘 몰랐지만, 박찬국 교수님의 글을 보면서 아 이게 이런 내용이라면서 탁치고 알게 되었다. 정말 어려운 철학을 쉽게 설명하시는 분이라는 생각이 지워지지 않았다. 사실 하루만에 읽게 된 철학이라 어렵다고 이야기 하지 않을수 있었다. 나에게는 쉬웠다. 미학적인 즐거움을 누리는 삶이 의지를 미워 하지 않고 의지안에서 사는 가장 최적의 삶을 누릴수 있는 가장 희망적인 길임을 이야기 해야 한다. 천재는 이런 글쟁이나 글을 쓰거나 수학에서 보는 천재 보다는 음악이나 미술 조각상을 만드는 사람에게서 찾는 천재에 대해서 다뤄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 그렇다고 느꼇다. 사실 니체 쇼펜하우어 칸트 헤겔 모든 철학자들이 미학에 대해서 다루면서 천재들에 대해서 열등감을 많이 느끼는데 그 이유를 알것같다. 사실 글을 다루면서 진리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모든 사람은 진리가 열리는 경험을 하거나 미술 작품을 보면서 기이한 느낌을 들게 하는 것을 할수가 없다. 물론 이런 글을 쓰는 사람들은 천재지만 그들보다 더욱더 멋있는 일을 하는 사람은 예술을 해서 사람들을 즐겁게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