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논어 + 철학노트 필사본 세트 - 전2권
공자 지음, 김형찬 옮김 / 홍익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논어는 아무래도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책이다. 특히나 에브너나 부버 철학에서 나오는 나와 너의 사이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것이 인이다. 이 인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사랑으로 해야 한다는 내용이고 상대방을 세워야 한다는게 이 내용이다. 그리고 유교의 전통을 나오게 하는 내용도 있다. 조상에 대해서 아버지에 대해서 어머니에 대해서 효를 해야 된다고 이야기가 나온다. 사실 이책은 공자가 지은책이라고 이야기 해서도 안된다. 다른 사람이 공자의 로기아 자료를 가지고 집대성 해놓은 책이다. 이 책에서 가장 재미 있게 본 장면은 안회에 대한 이야기였다. 안회는 공자의 제자중에서 가장 훌륭한 제자지만 빨리 죽은 사람이다. 안회는 공자가 이야기 한 모든것을 지키는 사람이었고 실천한 사람이다. 중용 인간의 맛이라는 강의에서 들은 바로는 이 안회는 3개월 정도 되는 기간동 공자가 이야기 하는 것들을 지키며 자신의 생활을 변화시켜 나갔다. 나도 안회처럼 되고 싶은 생각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안회가 글을 쓰고 실천해서 깨달은 바를 적어서 책으로 내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 매우 재미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다. 이처럼 인에 대해서 이야기 하지만, 예에대해서 아주 많은 분량을 쓰는데, 인의예지라는 말이 공자의 언어에서 나온것이라고 생각 되어진다. 맹자가 맹자라는 책에서 인의예지를 강조했다면, 논어는 인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설명하면서 그 인으로 예와 지와 의를 설명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예는 아무래도 우리가 가져야 할 예의 라는 것들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예의 상대방에 대해서 가져야 하는 태도이다. 그리고 죽은 조상에 대한 예 이를 두고 효라고도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재미 있는 부분은 공자는 영혼에 대해서와 하느님에 대해서는 침묵을 했다. 이땅에 있는 것들을 알기에도 바쁜대 신에 대해서 논할 여지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대신에 하는 많은 말들은 사이에서 성인과 보통 평범한 사람과의 대조를 많이 이야기 했다. 인의 개념을 이야기 하면서 인한 사람이 성인이라고 이야기 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성인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말하는게 아니라 한국에서의 전통과 사이에 대한 개념이 한국에 많이 녹아져있어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상대적으로 논어는 너무나도 한국 사회에 녹아져있어서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없어서 쉽게 빠져나가는 경험을 많이 했다. 논어는 그리고 경영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고 리딩으로 리드하라에서 이야기 하는데 그보다는 지배 하려고 하는 자들의 CEO의 글이라기 보다는 개인적으로는 사람들 사이에 있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라고 느껴진다. 이 사랑이 있었기에 기독교 전통으로 있었던 서양 보다는 뒤쳐져있었지만 그긴시간동안 지배해서 올바른 질서와 통치를 가능하게 해주는 듯 해 보였다. 사실 모세오경을 보면 아브람 이후 모든 신학을 하는데 맨처음 정해 놓았던 것은 질서를 위한 법이었다. 이 법은 율법인데, 이처럼 동양사상의 핵심인 논어에서는 이 윤리와 마찬가지인 율법을 정해 놓은듯한 모습이 눈에 띄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논어는 동양의 율법책이라고 이야기 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짧고 이해하기에도 어려움이 없지만 이를 통한 질서는 지금 봐도 아주 유용한 생각이 많다고 느껴졌다.
 논어는 비판보다는 더 읽어서 생각을 다시 정리해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는 너무 쉬워서 기억에 휘발성이 너무나도 강했다. 어려운 사람도 있겠지만, 한국사람이라는 특징이 여기에서 나온다고 생각했다. 고전을 읽고 그 내용이 무엇인지 정리하거나 외우고 싶은 사람들은 이 책을 읽으라고 권유하고 싶다. 정말 동양철학은 어렵지가 않았다. 대신 이 책은 여러번 봐야 진가가 나온다는 생각은 변함이 없다. 여러번 봐야 그 내용에서 나오는 깊은 뜻을 정리하거나 사람들에게 이야기 해줄수 있는 것 같다. 그만큼 이 논어에 대한 사서삼경에 대한 지식은 여러 책으로 번역 되어지고 원어로도 써보고 별에 별 일을 다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해야 하는 것은 다른책도 그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양철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전통을 중시 여기다 보니 그 사상을 뛰어 넘은것을 말하지 않고 그 전통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덧붙이는 일을한다. 이는 옳바르게 한다고 느껴지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서양 철학에서만큼의 발전을 이루지 못했다고 느껴진다. 성리학 양명학 같은 모든 사서삼경 뿌리의 질서의 종속 되어 있는 유교 철학은 일면 질서를 유지 시키는데 좋게 여겨지지만, 이는 한 사람에 대한 존경이나 천재의 종속 사상의 무뎌짐 발전 없음이 초래 되고 말았다고 생각이 든다. 아예 니체처럼 모든 것을 회의하고 그 남은 잔재들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쓰는 뛰어 넘으려는 노력이나 시도가 많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 논어를 뛰어 넘으려는 생각을 한사람이 별로 없겠다고 느껴질수도 있다. 이게 아닐수도 있지만 개인적인 생각을 글고 옮겨 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