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뱅크시의 사라진 작품들 - 팔리거나 도난당하거나 파괴된 그래피티 51
윌 엘즈워스-존스 지음, 서경주 옮김 / 미술문화 / 2025년 6월
평점 :
#서평단 #도서제공
사라진 벽, 사라진 기억
예술은 언제 사라지는가? 혹은, 지워지는가?
한 번의 스프레이, 한 점의 붓질로 세상을 향한 메시지를 남기는 작가, 뱅크시.
그러나 우리가 본 것은 단지 ‘살아남은 일부’일지도 모른다.
뱅크시의 유실된 작품들은 그가 남긴, 그리고 잃어버린 작품들의 궤적을 따라간다.
⸻
✔️ 기억되지 못한 예술, 혹은 지워진 저항
윌 엘즈워스-존스가 쓴 이 책은 뱅크시의 대표작이나 유명세를 부각하는 작품집이 아니다.
오히려, 존재했지만 지금은 사라진 작품 51점을 통해 ‘예술이 사라지는 방식’에 집중한다.
도난당하거나, 철거되거나, 무심코 지워진 벽화들.
그 하나하나에 담긴 시대의 얼굴과 거리의 목소리가 이 책에서 되살아난다.
그래피티는 원래가 ‘영구적이지 않은’ 예술이다.
그러나 뱅크시의 작업은 그 불안정함을 적극적으로 끌어안으며
사라짐 자체를 예술 행위로 전환시켜 왔다.
‘유실된 작품들’은 이 지점에서 예술과 기록, 저항과 상품화, 기억과 망각 사이의 미묘한 균열을 포착한다.
⸻
✔️ 미술관 밖에서, 보존되지 못한 목소리들
책은 작품 하나하나의 위치, 생성과 파괴의 과정, 그리고 그에 얽힌 사회적 맥락을 꼼꼼히 정리한다.
도판과 함께 실린 뱅크시 특유의 아이러니한 유머,
지역 커뮤니티의 반응, 미디어와 아트 마켓의 개입까지—
모든 요소가 뱅크시라는 현상을 다층적으로 보여준다.
그림을 보존하려는 이들과 지우려는 이들,
예술을 소유하려는 시장과 공유하려는 거리의 사람들.
사라진 벽은 더이상 단순한 콘크리트가 아니라,
사회적 기억의 파편이자, 동시대 도시의 정치적 풍경으로 변모한다.
⸻
✔️ 아카이브가 된 거리, 거리로 나간 아카이브
이 책을 읽으며 한 가지 흥미로운 지점은
‘지워진 것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뱅크시의 예술은 그 자체로도 하나의 아카이브적 실천에 가깝다.
누가 어떤 기준으로 예술을 ‘보존’할지 결정하는가?
기록되지 않은 저항은 결국 사라지는가?
예술과 기록학 사이에서 고민하는 이들에게
뱅크시의 유실된 작품들은 하나의 참조점이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은 단지 그래피티를 모은 예술서가 아니다.
오히려 사라진 것들에 대한 가장 예술적인 기록이다.
⸻
💭
“그림은 사라졌지만, 의미는 남는다. 혹은, 의미도 함께 지워졌는가.”
이 책은 우리에게 묻는다. 사라지는 예술은 과연 끝난 것일까?
그리고, 기록되지 않은 저항은 실패한 것일까?
#뱅크시의사라진작품들 #미술문화 #Banksy #뱅크시 #기록예술 #공공성과예술 #유실된예술 #현대미술 #스트리트아트 #그래피티 #미술도서 #아트북 #북스타그램 #book #review #뱅크시책 #뱅크시벽뒤의남자 #책리뷰 #뱅크시작품 #뱅크시그래피티 #책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