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대를 말하다 - 이덕일 역사평설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되돌리지 못하는 역사의 안타까움과 우리 선조들의 애국심을 자세히 알게되는 책이었습니다.
근대사라 하면 누구나 일제 강점기, 고종, 명성황후, 흥선대원군 등 몇 가지를 기억하는 것 같은데 나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리고 식민사관.. 그 후 이어지는 대한민국정부 수립.
과연 우리의 근대사는 어떤 것인가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될까?
학교에서 배웠던 기억이 미미한 것을 보면 곧바로 육이오 전쟁이 발발한 것만 같아 어느 부분을 뛰어 넘어 바로 올림픽을 맞이한 것인가 싶기도하다.
이 책은 교과서가 됐음 좋겠다. 일반인뿐 아니라 학생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수많은 독립운동자들 가운데 몇몇의 이름 외에 알지 못했던 나는 책을 읽는 내내 숙연해 졌다.
특히 이회영 선생의 부분에서는 가슴이 뛰어서 자랑스러움과 함께 왠지 모를 울분이 느껴졌다.
책 초반에 이런 말이 있다.
-일본이 이완용을 이윤용, 이하여 등과 함께 친미파로 분류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들은 특정 이념, 노선을 갖고 있다기보다는 권력과 돈을 좇았던 친권파, 친전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을 후벼파는 대목이었다. 나라를 팔아먹은 부류들은 바로 이러한 자들이었던 것이다. 지금 시대는 어떠한가. 한일군사동맹을 비밀리에 처리시키려 하는 자들이 생각났다. 그들이 누구인가? 민간인 단체? 국방부? 아니었다. 바로 파란집과 국무총리라는 작자들 아닌가. 대한제국, 500년 조선의 사직을 팔아먹은 자들과 어쩌면 그렇게 겹쳐지는지 소름이 돋았다.
책을 읽는 내내 줄을 쳐가며 읽게 되는데 이덕일 선생님께 정말 고개 숙여 감사드리며 읽었다.
이런 부분이 있다.
-[일본외교문서] [매천야록] [대한계년사][고종실록][대한매일신보] 등을 토대로 재구성해본 7월 18일 오후는 급박했다.-
이 책이 어떻게 저술되어졌는지 독자인 나는 상상도 할 수 없음이다. 우리의 역사는 이렇게 누군가에 의해 꼼꼼하게, 발굴되어 알려지는 것이 감사하기만 하다.
학교 다닐 때 [혈의 누]가 시험에 나오는 문제이므로 얼마나 머릿속에 외우고 있었나. 그런데 그 작자가 매국노였다니. 더구나 이완용의 비서... 우리 역사를 바로 알기에 지금 역사가들의 부끄러움을 안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다.
만주벌판으로 독립을 위해 떠난 사람들을 보며 과연 지금 다시 그런 상황이 닥친다면 나는 어떨까 라는 생각을 안할 수 없게 된다.
[누군가는 뒤에 오는 세대를 위해]라는 말씀을 하신 그 애국심이 지금 절실히 필요한 때인 것 같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나라의 앞에는 아직도 그때의 일본이 지금까지도 도사리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동북공정을 앞세운 중국의 세력과 역사왜곡은 과거 역사를 정립하지 못한 우리에게 자칫 그 흔적조차 사장시키려 하고 있다. 해방 후 바로 역사를 바로 세웠다면 조선조의 역사와의 거리가 훨씬 가까웠으므로 우리는 상상못할 만큼의 역사 증거를 갖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 너무 늦었다고 한탄하기보다는 이제라도 바른 국가관을 위해 역사를 제대로 교육시켰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