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민사관의 감춰진 맨얼굴 - 이병도와 그 후예들의 살아 있는 식민사관 비판
황순종 지음 / 만권당 / 2014년 9월
평점 :
누가 우리 역사를 모독하는가? 이런 질문에 흔히 뭉퉁그려 '식민사관' '일제 식민사관의 학자들'이라고 쉽게 말하며 또 그렇게 생각했다. 비단 나뿐 아니라 주변의 반응 역시 이런 대답이 쉽게 나온다.
그렇지만 왜, 어떻게, 무엇을... 등등 구체적으로는 알지 못한다.
지난 교학사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가 언론에 떠들썩 했을 때에도 매체 언론들은 대부분 헤드라인 기사만 자극적으로 한두 번 뽑고 말지, 정작 어디가 어떻게라는 질문도 답변도 없었다.
한 팟케스트에 출연한 역사 선생님께서 "역사는 어느 주체의 시각으로 서술되느냐가 중요하다."라고 얘기한 것이 새삼 정답 같다. 역사라는 것을 무조건 자국에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서 변형 왜곡하라는 것이 아닌 주체적인 시각으로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내가 알고 있는 역사 역시 대중적으로 학습되어진 그 테두리 안에서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정도이다.
이 책은 제목부터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저자가 어떤 심정으로 글을 썼을지 내게는 절절하게 느껴졌다.
진실의 역사에 대해 말하는 학자들이 묻혀지고, 그 시대에 따라 정부 또는 권력에 맞추기를 기꺼이 반기는 학자들을 통해 이어진 학계의 줄기는 아마 시간이 흘러도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다. 그 또한 이젠 우리나라의 일정부분 역사가 되어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자신의 가치관과 쌓은 업적들이 무너지는 것일 테니 말이다.
하지만 분명히 친일과 매국의 거짓의 역사는 청산되어야 마땅하다는 것은 진실이다.
들어서 알고 있기도 예상하기도 했지만 책을 읽으며 저자가 지목했던 대표적 일본학자들보다 더 분노했던 것은 우리나라의 매국 학자들에게였다. 심지어 자기 위장에 능한 학자는 오히려 식민사관을 비판한 학자들을 교묘히 비판하고 호도하여 주류를 이끌었다는 사실 등을 볼 때 오늘날 우리나라 역사를 바탕으로 한 모든 문화, 일베와 극친일친미보수자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되풀이되는 과거를 보는 느낌이 들어 섬칫했다. 특히 이런 주류에 탑승하는 거짓 학자들의 특징은 시류를 매우 빠르게 읽고 편승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도 작금의 현실과 너무 똑같지 않은가...
이 책을 읽으며 더욱 고대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 지도를 보며 대부분 빼앗긴 만주 정도를 생각하게 되고, 일제시대 억울하게 빼앗긴 만주는 이제 지리적, 역사적, 법률적으로 중국의 것이라 단정되는 분위기다. 그러나 만주 일대와 한반도는 물론 한때 산둥반도까지 고조선이 차지했었다는 사실에 학계에서 이러한 사실들을 제대로 주장하지 못하는 것 역시 식민사관에 뿌리를 둔 잔재라는 것이 안타깝다.
달달 외우는 교과의 역사책이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교육에 주입된 식민사관이 청산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앞으로도 가설로 만들어진 거짓 역사, 일본의 목적에 의해 만들어지고 삭제되어진 소설만을 공부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일본이 원하는 것일 뿐 아니라 중국에게도 필요한 일일 텐데 제대로 된 한국사가 자리잡길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