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남편, 육아빠가 될 수 있을까
오타 도시마사 지음, 송소영 옮김 / 사막여우 / 2014년 8월
평점 :
책 내용 중에 노르웨이 육아남에 관한 부분이 있다. 그 중 가장 공감 가는 것이 바로 ‘애초에 기준이 아주 낮다’라는 말이다. 이 문장에서 빠진 단어는 ‘(요리에 대한) 기준이 아주 낮다’라는 것이다. 비단 요리뿐 아니라 육아에 대한 기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지만, 대체로 우리나라 남자들의 사고방식은 전자렌지에 돌리는 냉동피자에도 못 미치기 때문에 대부분의 엄마들이 육아에 대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물론 요즘은 텔레비전 프로 등에서 아빠 육아에 대한 다양한 예능들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많은 인식의 변화나 혹은 마음에 자극을 받는다는 말도 많이 들었다. 그러나 어떤 기사에 보면 방송에 나오는 육아 내용을 보며 상대적 박탈감에 아예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어느 기준으로 맞춰야 하느냐는 각각의 집마다 틀릴 것이다.
책에서도 말하듯
‘결국 육아남을 결정짓는 잣대는 세상의 기준이 아니라 각 가정에 있다’
라는 말이 정답일 것이다.
책의 내용이 매우 짧은 장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고 간간히 들어간 삽화를 보며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엄마가 꼭 알아야 할 시기별 아빠 스위치 작동법]이란 꼭지에서는 대부분 육아서에서 교육시키는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기억하기 쉽도록 정리했다. ‘임신중-> 출산직후-> 수유기-> 유아기’로 나누어진 내용은 아이를 키우는 사람들은 이미 알겠지만 나처럼 아이가 없는 사람이 보기에는 매우 체계적으로 보였다. 주변의 산후우울증에 시달리는 엄마들을 보면 산후조리원을 나온 직후가 가장 힘들다고 하는데 아마도 출산직후에서 수유기 사이가 아닐까? 남자들은 절대 모를 그런 섬세한 관심, 조금의 행동이나 말의 위로도 큰 도움이 된다고 들었다.
끝으로 이 책에서는 남편, 아빠의 육아에 대해서도 나오는데 육아의 대부분 초점이 엄마를 향해 있어서 미처 돌보지 못한 아빠들에 대한 이해는 충분히 공감가는 부분이었다. 엄마들에게는 누구에게나 큰아들이 있다고 하지 않던가. 육아를 계획하거나 육아에 고민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빠른 시간동안 재미있고 유익하게 볼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주변에 출산한 여러 가정들이 떠오르면서 이 이 책을 읽으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