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으로 과학하기
박재용 지음 / 생각학교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담을 통해 과학을 배울 수 있다고? 독특한 설정이다! 그러기에 관심이 가고 10대들이 과학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학창시절 나역시도 괴담을 좋아했다. 분명 무서운데도 호기심이 발동해 괴담이야기를 듣는 것을 좋아했던 기억이 난다. 우리집의 초등 고학년 여자아이도 괴담이 매력적으로 다가오는지 이 책을 읽어보겠다고 하였다.




이 책의 저자는 과학과 일상을 연결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과학과 사회, 과학과 인간이 만나는 경계에 대해 공부하고 글을 쓰는 것을 즐긴다고 한다. 지은 책으로는 <녹색성장 말고 기후정의>, <탄소 중립으로 지구를 살리자고?>, <1.5도, 생존을 위한 멈춤> 등이 있으며, '기후 위기의 본질과 대책', 생명 진화 40억 년의 비밀', '과학, 인문에 묻다'등의 강연을 했다.


아래 서평은 초등 고학년인 딸아이가 이 책을 읽고 남겨준 서평이다.

나는 괴담을 좋아하는 편이다. 엄청 무섭지 않은 괴담은 잘 읽거나 열심히 듣는다. 이 책 <괴담으로 과학하기>에 소개된 11가지 이야기 중 '흡혈귀' 이야기가 가장 인상 깊었다. 원래 흡혈귀가 나오는 이야기를 대부분 좋아하는데 15페이지에 나와 있는 이야기는 특히 예상하지 못한 결말이라서 더욱 재미있었다. 내가 보기에 이 책의 가장 좋은 점은 바로 과학이야기가 나오기 전에 짧은 괴담이 나온다는 것! 짧게 써진 11가지 괴담 모두 하나같이 다 재미있었고 스릴 넘쳤다. 또 괴담에 관련된 과학적 사실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예를 들어, '피는 생명력의 근원', '리사 바이러스의 침투', '시신의 부패 과정' 등 과학과 연결지어 지식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죽었다는 건 뭘 의미할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당연하다고 생각해왔던 것에 대해서도 좀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물론 어려운 내용도 살짝 있었지만... '흡혈귀는 광견병 환자와 비슷하다' 처럼 우리가 잘 아는 내용과 연관시켜서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운 부분들도 이 책의 장점이라 생각한다. 괴담을 좋아하고 즐기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