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을 꿈꿔라 8 - 2022 노벨 과학상 수상자와 연구 업적 파헤치기 노벨상을 꿈꿔라 8
이충환.이종림.한세희 지음 / 동아엠앤비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년 노벨상의 수상자와 그 업적은 무엇이었을까? 사실 이런 책이 있는 줄 몰랐는데, 과학분야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이 책을 보고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지금껏 과학 분야의 노벨상은 우리나라와는 인연이 없어 보이지만 언젠가는 꼭 우리나라 과학자 중에서도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노벨상은 권위만큼이나 심사가 까다로워 단기 성과만으로는 부족하고 보통 20~30년에 걸친 연구 업적을 바탕으로 수상자를 결정한다고 하니, 국가적 차원에서 기초과학분야에 탄탄한 재정적 지원이 꼭 이루어졌으면 좋겠다는 바램을 가져본다.

노벨상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노벨상은 현재 6개 분야 ( 물리학, 화학, 생리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에 대해 시상을 한다. 이 책에서는 2022년 발표된 6개의 분야의 노벨상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해주고, '괴짜 노벨상'이라 불리는 이그노벨상에 대해서도 흥미롭게 설명해준다. 사실 그 부분을 읽으면서 키득키득 웃었다. 그리고 각 장이 끝날 때마다 퀴즈를 풀어보면서 정리하고 확인하는 부분이 있어서 흥미로웠다.


1장에서는 2022년 노벨상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풀어내었고,

2 ~ 4장에서는 각각 3가지 과학 분야의 2022년 노벨상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연구주제와 관련된 기초지식과 수상자의 업적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다룬다.


예를 들어 양자 얽힘 현상으로 양자 기술의 기반을 마련한 2022 노벨 물리학상의 경우, 양자 얽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사전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양자역학이란 무엇인지부터 시작하여 아인슈타인이 밝힌 광전효과, 파동-입자의 이중성, 불확정성의 원리와 상보성의 원리, 코펜하겐의 해석 등의 기초 지식을 자세히 풀어준다. 그리고 노벨과학 수상자의 업적을 자세히 설명해주는 페이지로 넘어간다.


2022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 생리의학상의 수상업적을 설명해주는 내용은 각각 15페이지 내외의 분량으로 이미지 자료와 함께 자세히 기술되어 있어서 그 놀라운 결과를 하나둘씩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2022년 노벨 과학상 수상자의 연구 업적이 궁금하고,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다면 누구든지 이 책 한권으로 속시원히 알아가는 기쁨을 맞이할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