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스페이스 실록 - 너의 뇌에 별을 넣어줄게 파랑새 영어덜트 4
곽재식 지음, 김듀오 그림 / 파랑새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자신의 꿈이 천문학자라고

했습니다. 왜 천문학자가 되고 싶은지 물으니 아이는

별이 좋아서요. 천문학자가 되면 별을 많이 보게

될테니까요, 라고 말했습니다.

엄마도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참 좋아하는데 엄마의

영향이었는지 아이는 밤하늘의 별을 좋아하고 우주에

관한 이야기가 늘 궁금했습니다.

고등학생이 된 아이는 꿈은 달라졌지만 여전히 우주와

별에는 관심이 많고 관련 서적을 즐겨 읽습니다.

덩달아 엄마도 같이 책을 읽게 됩니다.

이번엔 엄마가 읽고 추천해준 <슈퍼 스페이스 실록>은

곽재식 교수님이 쓴 책으로 해와 달, 여덟 행성과 별과

별자리, 블랙홀, 우주의 이야기가 다채롭게 담겨 있습니다.

특별한 점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선으로 볼 수 있었던 부분이었습니다.

우주에 대한 기초지식을 소개해 주는 여러 책들이

현대 천문학에서 정리된 지식을 소개하다 보니 유럽

천문학과 유럽 전통에 연결된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것이였습니다.

사실 이부분을 당연하게 생각해온 저는 곽재식 교수님이

한국의 전통 과학기술을 이야기하고 잊혀진 한국 이야기

를 우주에 대한 과학지식과 함께 이야기 하고 있어

새롭고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우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함께 우리선조들의 천문학

연구에 대한 이야기나 우주에 관련된 민담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풀어놓은 책속 이야기 몇가지를 소개해봅니다.



조선 숙종 시대에 활동한 정치인이자

학자 김석문은 지구가 둥굴다는 학설을

연구한 결과 지구가 도는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슈퍼 스페이스 실록 - 지구의자전 中


김석문이 활동하던 시대에는 유럽에서도 지동설이

상식으로 널리 알려진것이 아니였고 김석문은 지구, 달,

태양 등은 모두 공 모양의 둥근 물체이고 우주에서

허공에 뜬 채로 이리저러 돌고 있다고 이야기한 학자라고 합니다.

유럽에 지동설을 주장한 갈릴레이가 있었다면 우리나라

에도 같은 내용을 주장한 학자가 있었다는 사실이 놀랐습니다.

어쩌면 김석문의 학설 삼대환공부설을 지동설 대신

배웠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는 설레이면서도 아쉬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 는 하늘에 어떤 별자리들이 있고 어떤

별이 보이는지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지도처럼 정리한

그림이라고 합니다.

별의 밝기로 등급을 따지는 현대과학과 관련지을 수

있는 점이 놀랍습니다. 중국에서 개발된 옛 별자리 지도

에선 별의 밝기를 알아보기 어렵다고 하니 말입니다.

지금의 별의 등급과 딱 맞아 떨어지지 않는다 해도

조선시대 학자들의 노고에 깊은 감탄을 해봅니다.





책을 통해해 2023년에 외계 행성 하나에

한국인, 고등학생들이 제출한 이름 '아라' 가 붙은 행성

이 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습니다.

고등학생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 뿌듯함이 느껴지는 대목이었습니다.

책을 통해 우주의 기본적인 지식과 함께 천문학이

멀리 외국의 과학기술이 아닌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깊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반가웠습니다.

책 한권으로도 어렵지 않게 우주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 이 시대에 살고 있어 감사한 마음 입니다.

우리 옛 조상님들의 우주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지는 이야기를 추천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