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들이 코딩하느라 바쁘다고? 질문하는 과학 12
이정환 지음, 김소희 그림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문학자들이코딩하느라바쁘다고


< 천문학자들이 코딩하느라 바쁘다고? >
ㅡ 이정환 지은이
ㅡ 김소희 그림
ㅡ 나무를 심는 사람들
ㅡ 2024 . 2 . 15



천문학에도 코딩이 연관되어 있다는 제목에 이끌려
읽어보게된 책.


아이들과 별이나 달 , 토성 , 화성을 보러간적이 있었는데
천문대로 가서 관측하기에는 서울에서 너무 멀었기에
혜화동에 있는 국립어린이과학관에서 종종 봤었다.


천문대가 서울에는 많이 없고 산쪽에 많이 위치해있었던 이유가
도시에는 불빛이 너무 많아서 별들이 잘 보이지 않기때문에,
별을 좀 더 가까이 보기위해서였겠지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였다.

산 위쪽에 위치하는 이유가
도시의 불빛을 피하기위함 뿐만이 아니라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대기의 영향을 덜 받기때문에 관측이 더 잘되기때문이란다.


우리가 사진으로 보는 우주 , 지구, 천체들의 모습이
망원경 관측을 통해서 얻은 숫자값들을 모은 것으로
원래는 흑백사진으로만 표현된다고 한다.
이것을 여러 가지 파장들의 색을 이용해서
컬러로 나타내면 우리가 보는 예쁜 사진이 된다는 사실...

천문학은 망원경과 인공위성으로 지구와 우주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생각했는데
은하의 영상 자료를 모아서 인공지능에 학습시키고
복잡하고 방대한 은하들을 분류하고 성질을 연구하는 등
지금은 코딩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천체 관측용 망원경을 직접 만들어
목성의 위성을 발견한 갈릴레오 갈릴레이부터
누리호 3차 발사 등 최근 연구 성과도 함께 소개되어있다.


이런 이야기 이외에도
지구에 계절 변화가 생기는 이유는?
일식과 월식은 어떻게 일어날까?
우리가 한밤중에 수성을 볼 수 없는 이유는?
인류가 화성으로 이주할 수 있을까?
블랙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천체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잴까?
등등의 우리가 궁금해하는 천문학적인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어
우주를 보는 눈을 활짝 열게해주는 책.


청소년 도서이지만 초고학년과 어른 모두
우주와 천문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주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추천해본다.



본 리뷰는 나무를 심는 사람들에서 이벤트로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소중한 책 선물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