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몸 박물관 - 이토록 오싹하고 멋진 우리 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과학이 동동 그림책
레이철 폴리퀸 지음, 클레이턴 핸머 그림, 조은영 옮김 / 동녘주니어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상한몸박물관

< 이상한 몸 박물관 >
ㅡ 레이철 폴리퀸 지음
ㅡ 클레이턴 핸머 그림
ㅡ 조은영 옮김
ㅡ 동녘주니어
ㅡ 2023 . 8 . 10



태초 고대 바다에서 작은 세포 하나로 떠다니던 작은 생명체에서 해파리나 해삼같은 동물이 , 물고기 , 도룡뇽 , 도마뱀에서 원숭이 , 유인원 , 마침내 호모 사피엔스인 인간으로 인류가 진화하게 되었다.

진화란?
생물이 생명의 기원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변해가는 현상.

몸에 생긴 작은 변화가 수백만 년 동안 계속해서 쌓이면 생물은 결국 자기 조상과 전혀 다른 모습이 된다. 그렇게 새로운 종류의 생물이 탄생하는 큰 변화가 바로 진화다. 그 새로운 종류의 생물이 바로 새로운 종이 되는 것이고.
하지만 그 종도 오랜 시간 동안 계속해서 여기저기 조금씩 변하다 보면 언젠가는 또 전혀 다른 모습의 생물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진화하게 되는 이유는 대부분 전과 다른 행동을 하거나 사는 환경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생물이 먹이를 바꾸거나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게 되면 생활방식이 달라지면서 어떤 신체 기관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그럴 때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부위는 몸에서 사라지거나 쪼그라들거나 결함이 있거나 , 망가지거나 , 이상한 상태로 우리의 몸에 수백년 동안 남아있기도 한다.
버려지듯 남겨지긴 했어도 모두 한 때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였기에 우리는 이 신체 기관을 " 흔적기관 " 이라고 부른다.


사랑니와 콩팥과 함께 박물관 전시실을 둘러보며 사랑니 , 털세움근 , 꼬리뼈 , 원숭이 근육 , 순막 , 콩팥 등 쓸모없어진 신체적인 부위와 소름 , 딸꾹질 , 괴혈병 등 신체적인 현상을 유발하는 우리 몸의 흔적기관을 알아보고 흔적 기관을 통해 어떻게 인간이 다리로 직립보행을 할 수 있게 되었는지 , 온몸에 덮여있던 털이 이제는 머리에만 자라게 되는 지금의 인간의 모습이 되었는지 인류의 진화과정을 쉽고 재미있지만 상세하게 알려주는 책.

자연 선택 , 적자생존으로 살아남아서 진화를 거듭하게 된 인류의 몸 속에서 일어난 기적과 뒷이야기들이 궁금하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이 책은 동녘주니어에서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