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이런 미래가 온다면 - SF 동화로 만나는 6가지 미래 과학 기술 맨 처음 지식학교 7
오승현 지음, 이로우 그림 / 휴먼어린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이런미래가온다면

< 어느 날 이런 미래가 온다면 >
ㅡ 오승현 글
ㅡ 이로우 그림
ㅡ 휴먼어린이
ㅡ 2023 . 5 . 15


과학은 참 많은 발전을 급속도로 해왔다.

내가 어릴적에 보던 [ 전격 z 작전 ] 이라는 드라마? 에 나오던 " 키트 " 라는 자동차는 주인공과 가벼운 대화가 가능하고 주인공이 손목시계로 부르면 스스로 운전해서 오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였다.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이미 인공지능 AI가 탑재된 차였던거다.

그 당시에는 단지 드라마여서 상상이니까 가능했을 꺼라 생각했었는데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에 이미 자율 주행차가 존재한다.

자율 주행 시스템이 속도를 조절하고 차선 이탈을 방지하지만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며 운전을 책임져야하는 레벨 2 정도의 단계가 대부분이지만....
벌써 레벨 3과 레벨 4의 시험 주행을 허용하는 국가도 있다. 점차 더 발전하여 레벨 5 의 운전석에 사람이 없어도 가능한 단계까지 개발중이라고 한다.

이렇게 발전하게 되면 편리함이 커지게 된다.
이동하는 시간 동안 차량 내부에서 업무 , 휴식 , 여가 등 다른 일을 할 수도 있고 운전자의 실수로 일어나는 교통사고도 줄일 수 있다. 또 자동차를 이용하고 나면 자동차 스스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으니 집에 있는 누군가가 또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면허도 필요없기에 아이도 혼자 자동차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과연 편리함만 커지는 것일까?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자율 주행차는 해킹에 의한 사고 가능성이 있기에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개인의 자동차 소유가 지금의 공공 자전거처럼 누구나 쓸 수 있는 공유 자동차가 되버릴 수 있어서 자동차 산업이 위축되고 일자리가 감소된다.
또 사고시 윤리적인 문제도 존재한다. 소수보다 다수인 쪽을 살리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지만 다수를 위해 본인이 희생해야 하는 상황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처럼 자율 주행차가 사고 시에 어떤 판단을 내리는 것이 옳은지 판단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다.


📚 P . 4 ~ 5
과학 기술은 인간을 바꾸기도 해요.
작가 새뮤얼 버틀러는 <에레혼> 이라는 소설에서 "기계에 작용하고 기계를 만드는 것이 인간인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에 작용하고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기계다."라고 말했어요.
인간이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는 사이 과학 기술도 인간을 변화시킨다는 거예요.


이처럼 과학 기술이 발전하여 만들어진 미래는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도 하지만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서 과학 기술에 지배 당하지 않으려면 미래 사회를 이끌 과학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공부해야한다고 오승현 작가님은 이야기한다.

이 책은 자율주행자동차 , 메타버스 , 소셜 로봇 , 인간복제 , 사이보그 ,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주제로 한 여섯편의 SF 동화와 친절한 해설로 아이들에게 미래를 바꿀 핵심 과학 기술을 쉽게 설명해주고 있다. 과학 기술이 편리하고 신기하지만 그 뒷면에 있는 문제점들도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책.


우리가 만들어가야 하는 미래에 어린이들이 좀 더 미래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여 우리가 과학기술에 끌려가지 않고 주체가 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기를 바래본다.

이 책은 휴먼 어린이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