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속보! 가짜 뉴스 속에서 진짜 뉴스를 찾다! - 예비 저널리스트를 위한 뉴스 리터러시
닉 셰리든 지음, 박혜원 옮김 / 나무말미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서평

< 뉴스 속보! 가짜 뉴스 속에서 진짜 뉴스를 찾다! >
ㅡ 글 닉 셰리든
ㅡ 옮김 박혜원
ㅡ 나무말미
ㅡ 2023 . 4 . 11


손가락으로 클릭 한번이면 온갖 정보를 다 알 수 있는 디지털세상에서 사는 우리들.


유튜브 , SNS , 많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매일 수많은 뉴스들을 접하게 되는데 이렇게 넘쳐나는 뉴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 모두 다 실제로 일어난 일이였을까? 이 뉴스들 중 거짓된 가짜 뉴스도 많이 있다.


가짜 뉴스는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있었다고 한다.

보리가 흉작일꺼라고 가짜 뉴스를 퍼뜨려서 농민들이 보이는 대로 보리를 사들여서 떼돈을 벌게 된 상인들 , 제우스의 아들이라고 퍼뜨려서 신적 존재로 여겨서 영토를 어마어마하게 늘린 알렉산드로스 대왕 , 안토니우스가 늘 술에 취해 있다고 거짓 소문과 비방하는 문구를 퍼뜨려서 결국 전쟁에서 승리한 옥타비아누스 .
얼마 전에도 연예인 부부의 이혼설이라던지 임신설같은 가짜 뉴스가 나온 적이 있다.

사실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치 사실인 것처럼 유포하여 독자의 관심을 끌고 특정 세력이 정치나 경제 등의 이익을 취하기 위해 , 또는 다른 이슈를 덮어버리기 위한 의도로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일부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 나쁘게 보도한 언론사의 기사도 가짜 뉴스라고 단정지어 버리기도 한다. 기사 내용이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짜와 가짜를 어떻게 판별해 낼 수 있을까?


현재 BBC 스코틀랜드에서 뉴스 리뷰 프로그램인 <세븐 데이즈(Seven Days)>, 라디오 프로그램인 <드라이브 타임(Drive time)>의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고 언론계에서 10년 넘게 일하고 있는 현직 저널리스트 닉 셰리든이 알려주는 예비 저널리스트를 위한 < 뉴스 속보! 가짜 뉴스 속에서 진짜 뉴스를 찾다! > 를 한번 읽어보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저널리스트 ( journalist )
ㅡ 신문이나 잡지 일에 종사하는 사람으로 기자 , 편집자 , 기고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뉴스 리터러시 ( news literacy )
ㅡ 뉴스를 이해하고 분별할 수 있는 능력


이 책에는 신문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부터 뉴스가 무엇인지 , 가짜 뉴스의 역사와 가짜 뉴스를 판별하는 법 , 기자가 어떻게 기삿거리를 찾고 톱라인과 헤드라인을 정하는지 , 뉴스를 만들고 어떻게 전달하는지 등에 관해 알려주는데 대화하듯 쓰여있어서 편하게 , 친근하게 ,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다.


뉴스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 , 가짜 뉴스에 휘둘리고 싶지 않은 사람들 , 저널리스트가 되고픈 아이들 이 모두에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정보의 분별력을 키울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기도 하다.



📚 P . 36 ~ 37
📌 가짜 뉴스를 콕 집어내는 방법
▪️ 상식적으로 생각해보기
▪️ 뉴스를 올린 사람이 누구인지 찾아서 확인해보기
▪️ 뉴스를 본 뒤 기분이 어땠는지 생각해보기
▪️ 뉴스에서 사용된 사진이나 영상이 특정 장소 , 특정 시간을 찍은 것이라면 단서를 찾아 확인하기


📚 P . 93
📌 편파적인 기사를 알아내는 법
▪️ 사건과 연관된 모든 측의 입장이 전달되고 있는가
▪️ 그 기자가 쓴 다른 기사를 찾아보기
▪️ 기사의 헤드라인이 새로운 사실을 말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 똑같은 이야기를 다룬 언론사의 기사를 읽거나 다른 TV 채널을 확인해보기


📚 P . 105
📌 W 다섯 개와 H 한 개 ㅡ 기사에 필수적인 요소
▪️ Who 누가?
▪️ When 언제?
▪️ Where 어디서?
▪️ What 무엇을?
▪️ Why 왜?
▪️ How 어떻게?



" 뉴스는 왜 하는 거야? "
" 도대체 가짜 뉴스는 누가 만들지? "
" 가짜 뉴스와 진짜 뉴스를 어떻게 구분해? "
" 진짜 저널리스트가 되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

이런 질문을 하는 아이나 어른 모두에게 이 책을 추천해봅니다.


이 책은 나무말미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