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가 있는 서울로 몰려들었습니다. 도시공학을 전공한건축가에게 지방과 서울의 균형 발전이라는 오랜 숙제에 관해 질문하자 이런 대답을 했습니다. "서울은 부산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도쿄나 상하이 또는 뉴욕과 경쟁하게 될 것입니다." 이미 국경을 넘어 자기 삶의 범주를 확장하는 디지털 노마드들은 세계 여러 도시를 오가며 삽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과 부산의 비교우위를 논하는 것은 한가로운 이야기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검색 엔진에 ‘visa for skilled workers(숙련 노동자 비자)‘라고 넣으면 여러 국가들이 주르륵 올라옵니다. 자신만의 전문성으로 어디에서든 일할 수 있으며 자신이 머무르는도시와 국가에 기여할 수 있는 이들을 위한 비자 제도입니다. 본인뿐 아니라 배우자의 취업 허가를 제공하고 부모님을모셔올 수 있으며, 1년~3년 이내에 영주권 취득할 수 있다는 파격적인 조건에, 심지어 중간에 직업을 바꿀 수 있다는 너그러운 비자가 이민에 까다롭던 일본에서 허용되었습니다. 3
까요? 칭찬은 개인에게 해야 하고 책임은 같이 져야 합니다.
칭찬은 집단으로 받고 책임은 개인이 지는 구조에서는 먼저나서는 사람이 바보가 됩니다. 이처럼 다양성의 이점도 조직의 문화가 바뀌어야 실효적으로 작동합니다.
그렇다면 다양성보다 선행해야 할 것이 형평성입니다.
형평성이 보장된 환경에서 안전함을 느껴야 구성원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그 이야기를 들어줘야 또 다음이야기를 이어갈 것입니다. 그렇다면 형평성이 먼저, 포용성이 그다음, 마지막이 다양성입니다. 다양성은 형평성과 포용성을 바탕으로 맺은 열매입니다.
다양성은 항상 포용성과 함께 갑니다. 포용성이 가지를드리우지 않으면 다양성이라는 열매를 맺을 수 없습니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