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르발 남작의 성
최제훈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책 좀 읽는 다는 사람들에게 가면, 어디를 가나 빠지지 않는 작가가 있다. 처음에는 제목과 표지 그림만 보고 외국작품을 번역해온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우리나라 작가였다. 처음부터 그런 인식이 박혀서 인지, 계속 외국작품이라 생각해왔고, 그렇다보니 자연스레 손이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다가 우리나라 작가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다음에는 내 주위 사람들이 하나 둘 이 책에 손을 대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맨 처음, 이 책을 선전하면서 말했던 출판사 직원이 요즘 가장 핫한 책이에요, 하고 말하는 것을 기억해 냈고, 잘 쓰는 작가라는 말을 해주었던 것을 기억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어본 주변사람들도 괜찮은 평들을 해주었기에, 나도 이제라도 이 책을 읽어야지, 하는 심보로 책을 손에 들었다. 그 책이 바로 <퀴르발 남작의 성>이다.


처음 책을 펼쳤을 때, 그리고 읽어가면서 조금 당황스러운 마음이 없지 않아 있었다. 내가 그동안 봐왔던 기존의 작품들이 가지고 있던 일정한 수준의 패턴과 달랐기 때문이다. ‘텍스트의 재구성’이라는 방식도 처음 접해본 책이었다. 그래서일까. 읽으면서 도대체 이게 무슨 말이지?하는 생각이 들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단편 한 편을 온전히 다 읽으면 그게 무슨 내용이었는지 이해가 간다는 점이었다. 대표적으로, 모자이크 기법으로 처리한 표제작인 <퀴르발 남작의 성>이 그랬다. 각각 시간과 장소가 다른 이야기들을 합쳐놓고, ‘퀴르발 남작의 성’을 서술해 나가는 방식은, 정말 읽으면서 어떻게 이렇게 했지? 하는 의문점이 끊임없이 들었다. 처음에 볼 때는 전혀 공통점 없이 따로따로 떨어져 있던 이야기들이, 마지막 장을 읽고 나면 모두 하나로 맞춰지는. 이런 식의 방식은 그동안 내가 처음 봐왔기에 보면서 흥미롭기도, 의아하기도, 감탄하기도 했다.


텍스트를 재구성한 <괴물을 위한 변명>과 <셜록 홈즈의 숨겨진 사건>등은 사실 내가 원작을 읽어보질 않아서, 나에게 있어선 이 작품들이 원작과 얼마나 다른지 비교할 수가 없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이 작품들이 원작으로 생각하는 마음도 없지 않아 있다. 그래서 읽는 내내, 재미는 있었지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들도 있어서 내 자신에게 조금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그리고 이중인격자를 ‘톰과 제리’라는 인물로 나타낸 <그림자 박제>는 보면서 정말, 이런 방식도 있네? 하는 마음과, 인간의 이중성에 대해 뚜렷이 보여준 단편이라고 생각한다. 대화체로 서술되는 이 단편은 어투로 인해서 한 인간의 여러 가지 성경, 유형들을 보여준다. 조금은 과격하고 자유분방한 톰과 조용하고 소심한 성격의 제리. 그리고 화자 자신까지. 세 사람, 아니 한 명을 더 보태어 네 사람의 심리와 성격 등을 대화로 대신해 표현한 것은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였다고 생각했다. 물론 대화체로 가다보면 조금은 쉽다는 느낌을 줄 수 있는데, 최제훈 작가는 오히려 그것을 역전시켜 버렸다. 그리고 <그녀의 매듭>에서는 우리 인간들의 ‘기억 왜곡’에 대해 그린 작품인데, 이 작품도 인상 깊었다. 이 <퀴르발 남작의 성>에 실린 8편의 단편들이 전부 제각기 다른 이야기를 가지고 다른 방식으로, 다른 식으로 이야기를 전달한다. 어느 하나 평범한 작품이 없을 정도이다. 마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신화 이야기를 곁들인 <마녀에 스테레오타입에 대한 고찰ㅡ휘뚜루마뚜루 세계사1>같은 작품은 정말 소설인지 알 수 없는 분석문 형태의 글이다. 그런데 소설적인 매력과 장치들로 이야기를 끌어간다. 자칫 지루하게 빠질 수 있는 이야기를 말 그대로 ‘이야기’로 이끌어 나간다.


참 새로운 방식이다, 라는 생각을 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말이다. 그런데 알고보니 이미 구효서 작가가 이전에 이런 방식으로 글을 발표한 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하늘 아래 더 이상 새로운 것은 없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그래도 나는 이 <퀴르발 남작의 성>을 읽으면서 참 새롭다고 느꼈다. 내가 이전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충격과 이야기를 해준 책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최제훈 작가가 어떤 식으로 작품을 쓰게 될지는 잘 모르겠지만, 새로운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새로운 이야기를 계속해주었으면 싶다. 이번에 <퀴르발 남작의 성>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충격이 과연 언제쯤 다시 맛볼 수 있을는지 모르겠지만, 가까운 시일 내에 이와 같은, 나에게 충격을 줄 수 있는 작품들이 하루빨리 나왔으면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