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편제 이청준 문학전집 연작소설 2
이청준 지음 / 열림원 / 1998년 4월
평점 :
절판



나는 사실 우리나라 가락에 대해서 크나큰 관심이 없는 편이었다. 자주 들을 수 있는 기회도 거의 없다시피 했고, 듣더라도 다 비슷비슷한 가락에 ‘한의 정서’라는 교과서적인 느낌이 강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우리나라 가락에 마음이 가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다. 그러던 중 우연히 이청준 작가의 원작으로 <서편제>라는 뮤지컬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우연히 뮤지컬 <서편제>의 한 부분을 보게 되었다. 그 순간, 빠져들게 되었다. 처음에는 낮은 음과 웅얼거림처럼 느껴지기도 했지만, 후반으로 치닫을 수록, 말 그대로 ‘한의 정서’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 온몸에 소름이 돋았다. 이런 적은 처음이었다. 비로소 우리나라 가락에 맛에 빠져든 것일까? 아리랑을 듣더라도 아, 그렇구나, 하는 생각에 멈췄던 나에게는 엄청나게 크나큰 발전이었다. 그렇게 되자, 자연스레 이 뮤지컬의 원작인 <서편제>의 관심이 갔다. 그리고 원작의 작가가 바로 이청준 작가라는 사실을 알고 기대감이 무척이나 컸다. 그리고 이 책을 다 읽었을 때, 그 기대치를 뛰어넘거나 하진 못했지만, 내가 예상했던 것만큼의 파장이 나를 찾아왔다.


소리를 하기 위해, 한 남자, 그리고 그의 딸과 북장단을 맞추는 남자아이가 팔도를 돌아다닌다. 남자아이는 자신의 어머니를 죽게 한 남자에게 복수를 하려고 이를 간다. 하지만 점점 그의 소리에 동화되어 가고, 이렇게는 안 되겠다 싶어, 남자를 죽이려 하지만, 결국 죽이지 못하고 둘을 떠나게 된다. 그 이후로 남자는 딸의 눈을 멀게 하여 오로지 소리가 나오는 목과, 귀에게로만 신경이 가게 만든다. 말 그대로 여자의 ‘한’이 시작되는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 아닐까 싶었다. 그리고 남자를 죽이려는 남자아이의 모습에서도 한의 모습이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어느날 갑자기 찾아와 자신의 아버지가 되고, 어머니가 아이를 낳게 하고, 또 그런 어머니가 죽게 만드는 남자를, 남자아이는 용서할 수 없었으리라. 그를 죽일 생각으로 그를 따라 전국팔도를 돌아다니며 북장단을 맞추었으니, 그의 북장단에도 얼마만큼의 한이 서려 있었으리라. 하지만 점점 남자에게 동화되어 가는 자신을 발견하고, 더는 그렇지 않으려 남자를 죽이려고 하지만, 모든 것을 알고 있던 남자를 보고, 결국 떠난 남자 아이. 그리고 훗날 자신의 누이를 찾으러 다니는 남자 아이. 그리고 그 누이가 눈을 멀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서로 자신이 누구라 말하지 않고 날이 샐 때까지 장단과 소리를 주고받는 둘의 모습. 그렇게 이 <서편제>는 우리나라의 ‘한’의 정서가 형성되고 해소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나에게 우리나라 가락에는 ‘한’이 있다, 라는 말이 좋게 들리지 않았다. 너무 그것으로만 밀고나가는 거 아니야?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으니 말이다. 하지만 <서편제>에서는 왜 우리나라 가락이 ‘한’이 깃들어 있는지 정확히 짚어주었다. 그리고 그 한을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한을 풀어나가면서 형성되는 감정이 우리나라 가락을 더욱 더 돋보이게 만들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마치 변명하듯 우리나라 가락에는 ‘한’이 서려 있어요, 가 아닌, 우리나라 가락에는 ‘한’이 형성되고 해소되는 과정이 드러나 있어요, 그러므로 더욱 더 ‘한’의 정서를 깨달을 수 있게 되었어요, 하는 정의를 내릴 수 있게 만들었다. 이제야 깨닫는다. 우리나라 가락만큼 더 좋은 가락이 없다는 것을 말이다.


각각의 단편소설들이 하나의 이야기로 통해지는, 연작소설 형태의 이 <서편제>를 읽는 동안, 이 당시의 나왔던 소설이, 현재 활발히 활동하는 신진작가들과는 전혀 다른 스타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당연한 일이지만 말이다. 상상력과 흥미를 이끄는 사건이 주로 등장하는 현대 소설과는 달리, 서정적이면서도, 토속적인, 그러면서도 ‘한’을 이끌어내는 이청준 작가의 <서편제>가 무척이나 동떨어지게 느껴졌다. 세월의 차가 있겠지만, 너무도 달랐다는 점이 오히려 나를 놀라게 만들었다. 어떻게 보면 이 <서편제>를 구닥다리 식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상상력과 사건이 주로 등장하는 현대 소설도 이런 식의 60~80편대 소설을 바탕으로 창작되어지고 있다. 제 3자가 속칭하는 구닥다리식의 작품, 즉 거름이 없이는 새로운 작품, 즉 작물이 자라날 수 없다. 현대 문학들이 비록 다양한 소스들을 가지고 저마다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옛것이 없이는 새것이 없듯, 이 당시의 소설들을 읽어야지만 바탕이 형성되고 그 이후의 소스들을 빨아들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주휘 2011-08-13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잘 보고 갑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