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영웅 열전 1
이윤기 지음 / 민음사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초등학교에 막 입학했을 때 고모가 사준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한참이나 열독했던 기억이 난다. 그 때에는 뭔지도 모르고 마치 유행처럼 퍼지던 그 책을 구입해 읽었었다. 과장된 남성 캐릭터의 근육질 몸매와 기하학적인 여성 캐릭터의 머리 모양들이 멋있다며 깔깔 대던 그 때의 나에게 그리스로마 신화는 뭔지 모르지만 재미있는 이야기, 신들이 나오는 이야기라고만 생각되었다. 그러다 ‘신화’라는 매력에 조금씩 빠져들었고, 그 이후로 마찬가지로 만화로 보는 책이지만 <북유럽 신화>까지 읽게 되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때만 해도 ‘신화’가 뭔지도 모르고 열광하던 아직은 순수했던 나라고 생각된다. 물론 지금은 그 때보다 머리가 조금 굵어졌고, 그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가 원래의 이야기에서 많이 각색되고 미화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수위가 대상 연령에 따라 많이 낮춰졌다는 것도 말이다. 그래서 그다음, 원래의 신화 이야기를, 내 머릿속에서 조금씩 각색되고 미화된 신화의 ‘본’이야기를 원본과 대비해 조금씩 짜 맞추어 봤다. 그러던 중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영웅 열전>이 나왔다는 소식을 알게 되었고, 우연히 기회가 되어 읽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그리스신화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거기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영웅들의 무용담에 조금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미궁의 정복자 테세우스에 대해서는 익히 알고 있었다. 공주가 건네준 실타래를 가지고 미궁 속으로 들어가 미노타우루스를 무찌른 영웅. 어찌 보면 너무도 많이 회자되어 익숙해진 테세우스 무용담을, 이 책에서는 조금의 양념을 곁들여 이야기 한다. 이 책의 전반적인 특징하고도 직결된다. 이 책에서는 챕터별로 나누어진 영웅의 무용담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다른 사례들과, 일담들, 그리고 철학자 등이 말한 문구 등을 양념으로 곁들여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영웅의 무용담을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그렇지만 일관성 있게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영웅의 비슷한 사례를 들어 비교 아닌 비교를 보여주고 있다.


나는 테세우스, 알렉산드로스, 뤼쿠르고스, 솔론 중에서 솔론 부분에 나오는 디오니소스에 대해 더 관심이 갔다. 아버지인 제우스신의 종아리에서 산달을 채워 태어난 술의 신. 이 점이 나는 의문이 들었다. 디오니소스 신의 모친은 인간이었다. 그런데 그는 신이 되었다. 아버지가 아무리 제우스신이더라도 조금 의문이 가는 점이었다. 이유는 제우스는 누구나 알듯이 바람둥이였다. 그와 사이에서 태어난, 어머니를 인간으로 둔 아이들도 무척이나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그런데 왜 그들 중, 디오니소스만 올림푸스의 신이 될 수 있었던 걸까. 솔론 부분에 나오는 디오니소스 일화를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해보았다. 왜 디오니소스만 신이 된 것일까.


이 책에서는 다양한 사례들이 나온다. 예를 들어 ‘스파르타의 아버지 뤼쿠르고스’ 부분에서는 스파르타 인들에 대한 일화가 나온다. 간단명료하게, 하지만 그 안에 모든 뜻을 내포하고 있는 언어를 구사하던 스파르타 인들. 수사학을 배웠다는 이들에 대한 일화를 보면 정말 기똥차게 말 잘한다, 하는 생각이 든다. 무조건 적으로 밀어붙이기만 했다는 기존의 스파르타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새로운 것을 알게 된 점이었다. 물론 그들이 강하게 밀어붙인 것은 사실이었다. 갓난아이들을 물로 씻는 것이 아닌, 포도주로 씻는다거나 하는 일은 말이다. 그렇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기존에 스파르타 하면 가졌던 이미지와는 반대적인 일화들이 나와 있어서 흥미가 일었다. 그리고 내가 잘 알지 못했던 영웅, 예를 들어 릐쿠르고스나, 이름만 알고 있던 솔론에 대해서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나와 있어 좋았다. 그리스 로마 신화 영웅하면 아무래도 헤라클레스가 대표적으로 떠올랐는데, 이 책에서는 다른 영웅들,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영웅들의 일담을 조명해서 좋았다.


조금 아쉬웠던 점이라면, 한 이야기에 대한 일화 등과 비슷한 사례의 이야기들을 끌어오다 보니 다소 산만하다는 점을 이유로 들 수 있겠다. 그래서인지 이해를 돕는다는 면에서는 좋았지만, 너무 어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고 한 가지 일화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했다면 지루했을 것 같기도 하다. 그 사이를 파고들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