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이렇게 바뀐다 - 제3회 박지리문학상 수상작
단요 지음 / 사계절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갑자기 사람들 머리 위에 수레바퀴 모양의 원판이 떠오른다’가 이야기의 출발점이다. 만질 수도 없고 과학으로도 검증할 수 없는 원판, 즉 ‘수레바퀴’는 인간의 정수리에서 50센티가량 떠올라 있으며, 정의를 상징하는 청색과 부덕을 상징하는 적색 영역으로 이분된다.


개개인의 청색 영역 비율은 어느 나라에서든 평균적으로 65퍼센트 전후고, 주변인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기부하는 사람조차 70퍼센트를 넘기 어렵다. 두 영역의 비율은 삶의 행적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일전에 읽다가 덮었던 책이다. 독서모임 선정도서이기에 다시 읽기 시작했지만, 저자가 뭘 말하고 싶은지는 알겠으나 집중이 안 된다. 이유를 생각해봤더니 공감이 어려운 문장이 나열되어 있어서이다. 예를 들면, '덕분에 수레바퀴 출현은 진짜 바퀴의 발명만큼이나 세계를 바꾸어 놓았다. 이제 사람들은 연봉을 높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옥에 갈 확률을 낮추기 위해 자기계발서를 읽고….' 같은 문장이다.


전반부에서 공감이 안 되는 몇 문장을 만나다 보니 집중이 되지 않았고, 재미도 느끼지 못했다. 소설이라고 나를 설득하면서 책장을 넘기다가 나중에는 과감히 책장을 덮었다. 책을 샀다고 해서 억지로 다 읽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독서모임 전에 아무래도 신경이 쓰여 다시 책을 펴서 꾸역꾸역 끝까지 읽었으나, 특별한 느낌은 없었고, 과대평가된 느낌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