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 나로 살아가기 위한 든든한 인생 주춧돌, 논어 한마디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이불염

더 큰 만족을 원한다면, 허기진 상태로 머물러라.


공자가 배움에 대한 세 가지를 말했다. "묵묵히 아는 것, 배움을 싫증 내지 않는 것, 가르침을 게을리하지 않는 것."이다. 첫 번째로 말한 '묵묵히 아는 것'은 지식을 쌓고 묵묵히 공부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배움을 싫증 내지 않는 것'은 배운 것이 너무 많아도 싫증 내지 않고, 언제나 배우고자 하는 의욕이 넘치는 상태이다. 세 번째,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는 것'은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것을 고생이라 생각하지 않는 태도를 말한다.


공자는 '멈추지만 않는다면 얼마나 천천히 가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고 했다. '배움을 싫증 내지 않는 것'과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는 것'은 끈기가 필요한 일이다. 끈기가 있는 사람은 한결같은 사람을 말하며, 배움을 싫증 내지 않고 가르치기를 게을리하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끈기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거일우불이삼우반

번민하지 않는 자에게 열 번을 말해도 소용없다


가르쳐 일깨워준다는 뜻인 계발(啓發)이라는 단어는 이 문장에서 유래된 것이다. 고대에는 스승과 제자 사이의 가장 좋은 상태를 '줄탁동시'라고 했다. '번민하지 않으면 일깨워주지 않고, 애써 표현하려 하지 않으면 말해 주지 않는다."라는 공자의 교육 사상은 어미 닭과 병아리가 안과 밖에서 호응하며 노력하는 것과 비슷하다.


교육의 중요한 점과 어려운 점은 학생이 번민하고 애써 표현하려 할 때와 답을 진심으로 알고 싶어 할 때를 포착해 내는 것에 있다. 학생들 스스로 이해하고 배움을 매력을 느끼게 해야 하는데, 이는 일일이 가르치는 것보다 어렵다.


공자의 교육사상은 학생들이 먼저 토론하고 체험하고 질문하게 하는 현재의 교육 형태인 '역진행 수업'과 비슷하다. 공자는 번민하지 않는 제자들은 일깨워주지 않고, 애써 표현하지 않으면 말해 주지 않았다. 재자들의 상황을 살펴보며 알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졌을 때, 그때 비로소 일깨워줬다.



몰입 을 통해 얻는 삶의 즐거움


「논어」는 동양 최고의 고전으로 수많은 해석본이 출간되어 있으나 이해하고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저자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도록 『논어』를 친절하게 설명한다. 저자의 눈에 비친 「논어」는 현대에도 적용하면 좋을 지침서이다.


수천 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강한 울림을 주는 것은 삶의 본질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임을 간파한 저자는 현시대에 맞게 『논어』를 재조명해 새로운 생명을 부여했다. 현대 과학에 근거한 이론으로 공자의 주장을 검증하고, 흥미 넘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아주 친절하게 공자의 가르침을 전한다.


자신의 자아를 돌보고 자신이 가진 특징을 받아들이게 되면, 마음이 편하고 즐거워져서 내면의 힘이 생긴다. 왜냐하면 내면의 힘은 자신의 가치관에 집중할 때 생겨나기 때문이다. 공자는 노력하면서 즐거워해야 비로소 몰입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


진작에 읽은 책이다. 인스타그램에는 1월 10일에 공유했는데 블로그에는 이제야 서평을 공유한다. 어디에 몰입하느라 그랬을까 곰곰이 생각을 해보니 특별한 일은 없었다. 당시 책을 읽기만 하고 정리를 하지 않는 책이 몇 권 된다. 다음부터는 읽으면 바로 기록을 남기는 것으로!!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