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 - 목소리는 어떻게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가?
존 콜라핀토 지음, 고현석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자가 등장하기 이전에 모든 의사소통은 말로 이루어졌다.'라는 저자 존 콜라 핀토의 소개문에 살짝 고개를 갸우뚱했다. 문자 이전에 그림으로도 의사소통을 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인간은 언어 덕분에 다른 영장류보다 경쟁우위에 섰고, 지금까지 진화해온 것은 정설이다.


이 책은 아기가 어떻게 목소리를 인지하고 말을 배우며, 목소리는 어디에서 왔는지, 젠더와 목소리의 관계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회적·정치적으로 목소리의 영향력은 어떠한지 그리고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노래가 가지는 힘은 무엇인지까지, 목소리의 ‘거의 모든 것’을 언급하고 있다. 그는 ‘목소리’는 다른 동물과는 구별되는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며, 우리 자신의 많은 것을 드러내는 ‘정체성’이라고 말하면서 언어가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게 만든 결정적 요인이라는 현재 과학계의 정설에 도전한다. 


유발 하라리의 뛰어난 작품인 《사피엔스》를 읽었다면 과학자들이 인간이 현재의 위치에 오르게 만든 동인으로 대부분 언어를 꼽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중략) 새, 개, 침팬지, 돌고래 같은 동물도 목소리를 사용해 두려움, 분노, 짝짓기 욕구 등을 나타내지만 이 동물들이 나타내는 것은 당면한 현재의 생존과 번식에 관계된 것에 한정된다. 따라서 인간만이 가진 언어 능력은 다른 생명체와 인간을 결정적으로 가르는 ‘건널 수 없는 루비콘 강’ 같은 존재라고 할 수 있다. 하라리는 과학자들의 이런 설명에 덧붙여, 이전 언어 능력이 인간이 지구를 지배하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말한다. 하라리에 따르면 언어는 비교적 뛰는 속도가 느리고 물리적으로 약하며, 포식자들에게 쉽게 당하는 동물이었던 초기 인간이 다른 인간들과 협력해 계획을 세우고 전략을 구사해 인간보다 크고 빠르며, 치명적인 포식자들을 제압하고, 다른 동물들보다 더 큰 크기의 집단(또는 부족)을 구성하고(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는 인간보다 한 단계 낮은 협력 형태를 보이며, 약 100마리가 한 집단을 구성할 수 있다), 결국 마을, 소도시, 도시 그리고 국가를 구성해 인류가 지구와 지구상 모든 존재를 지배할 수 있게 만들었다. 문자 언어도 이 과정을 가속하는 데 기여했지만, 사실 문자가 등장한 것은 5,000년 정도밖에 안 됐다. 이 정도 기간은 기나긴 인류 역사에서 보면 눈 깜빡할 정도의 시간밖에는 안 된다. 문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인간의 모든 의사소통은 말을 통해 이뤄졌다. 따라서 나는 지금 하라리를 비롯한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언어의 위대한 역할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나는 우리가 지구를 지배하게 된 것이 언어 때문만은 아니며, 언어라는 놀라운 특성을 소리로 만드는 우리의 특별한 능력에도 힘입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목소리라는 개념을 더 정교하게 다듬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할 뿐이다.

들어가는 말 : 나의 성대 폴립, p.27~29.


대부분의 포유류는 말을 하는 데 필요한 모든 발성 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침팬지의 입술, 혀, 연구개, 폐, 후두는 구조와 기능 면에서 인간의 그것들과 구분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침팬지는 얼굴 정면에 눈이 있고, 엄지가 나머지 네 손가락과 마주 볼 수 있으며, 두 젖꼭지가 대칭적이며, 주둥이가 짧다는 해부학적 특징도 인간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18세기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는 인간과 유인원을 같은 목, 즉 ‘영장목’으로 분류했다. 다윈보다 한 세기 먼저 활동한 린네는 유인원과 인간이 진화 측면에서 연결돼 있다고 말하지 않았다. 린네는 해부학적 유사성에만 집중했다. 교회가 표명했던 우려 때문에 린네는 결국 인간이 동물계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도록 호모 속 사피엔스 종이라는 독립된 영장류 범주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린네는 생물학자 친구들에게 보낸 편지에 ‘인간과 유인원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겨우 하나밖에 없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네’라고 썼다. 린네에 따르면 그 하나의 특징은 해부학적 특징이 아니라 행동적 특징이다. 바로,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Part 2 기원, p99.


인간의 목소리는 동물의 목소리 중에서도 특이하기 때문이다. 목소리가 말을 하는 데 특화돼 있다는 점에서뿐만 아니라 목소리에 성적 이형성이 나타난다는 점, 즉 남성과 여성의 목소리가 차이가 많이 난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인간을 제외한 다른 모든 포유동물은 암컷과 수컷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 없다. 암컷이든 수컷이든 같은 종이면 똑같이 으르렁거리고, 짖고, ‘야옹’ 소리를 낸다.

Part 5 섹스와 젠더 , p.189~190.


'인간은 자궁에서 액체로부터 산소를 추출하는 물고기 갚은 수중생물이었다가 태어나는 순간 공기를 호흡하는 동물로 변한다.'라는 문장은 얼마 전에 읽었던 룰루 밀러의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를 떠올리게 만든다. 책을 읽다가 바로 전에 읽었던 책과 내용이 연결되면 흥미가 더해진다. 


'생후 3개월이 지나야 신생아의 포유동물 변연계가 작동하면서 운율이 풍부한 음악적인 소리가 아이와 돌보는 사람과의 사회적 요대 형성에 도움을 주기 시작한다.'


우리는 말을 하면서 인간이 되었다.

필립 리버먼


저자는 인간 특유의 목소리를 만든 진화 과정, 인간 목소리의 정서적 운율, 진화 과정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한 언어에 대해서도 탐구하는데, 목소리 신호를 의미 있는 발화로 변화시킨 인간의 능력이 약 3만 년 전에 우리의 뇌에서 발생한 변화에 의한 것임을 밝힌다. 그리고 인지대도약이 일어나 지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는 지배적 학설을 인용하면서, 목소리 자체의 역할에 대해 강조한다. 


인간은 신생아 때 발화 기술을 익히지만, 신생아는 상당히 많은 양의 음성학적 지식을 보유한 채 태어난다. 엄마의 자궁안에서 대화를 들으면서 집중적으로 흡수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목소리 기반 언어 훈련에 의해 쌓인 것이다. 결론은 선천적으로 갖고 태어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다.


이 책은 목소리가 어떻게 나타나며, 어떻게 외부로 확산되는지, 어떻게 소통하는지, 목소리가 주변 사회 환경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면서, 관련 학자의 의견과 논문 내용을 자주 언급하면서 신뢰성을 높인다. 그중에 리버먼 그리고 스티븐 핑거의 등장은 충분히 관심을 끌게 만들었다. 1950년대 후반 촘스키의 언어학 강의를 들었던 필립 리버먼은 선천적인 '언어 기관'의 존재를 부정했으며, 인간의 언어 능력은 '일반 지능'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촘스키의 언어 본능(보편 문법) 때문이 아니라 다윈이 주장한 '학습 본능'을 타고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며, 당시는 이런 주장을 하기는 쉽지 않은 분위기였다. 


이 책은 목소리에 관련된 연구 논문 같은 느낌이 든다. 그만큼 전문적인 내용을 담았다는 이야기다. 업무와 연결된 부분도 있어서 흥미롭게 읽었고, 발화나 발성 등의 이해에 도움이 된 책이다. 그러나 관심이 없는 독자는 지루함을 느낄 수도 있다. 


뛰어난 웅변가가 되기 위한 세 가지 능력은 docere(가르치는 능력), delectare(기쁘게 하는 능력), mpver(감동을 주는 능력) 키케로(Cicero), BC 55, 웅변가론이다. 자신의 주장이 옳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하고, 청중을 기쁘게 살 수 있어야 하며, 청중의 감정을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키케로(Cicero), BC 55, 웅변가론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