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의 마법 (특별판 리커버 에디션) - 지식 세대를 위한 좋은 독서, 탁월한 독서, 위대한 독서법
김승.김미란.이정원 지음 / 미디어숲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재의마법 #좋은독서 #위대한독서법 #나만의공간서재 #책읽는공간


자기계발 > 성공학

서재의 마법, 김승, 미디어숲



서재는 계속 변화하고 성장하는 공간


20년간 독서를 하였으며, 하루 1권 읽기를 실천하여 300개의 지식 바인더 그리고 36개의 테마 일기장의 주인공 김승의 서재를 만나는 책이다. 저자는 서재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으며, 계속해서 변화하고 성장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책을 읽다 보면 빨리 읽히는 책도 읽고 천천히 읽어야 하는 책도 있다. 연구 자료는 몰입해서 읽어야 하고, 같은 주제를 다루는 책은 초반의 10~15권 정도는 읽기 어렵지만 이 단계를 넘어서면 내용이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에 수월하게 읽을 수 있다. 


처음의 지식 축적의 단계를 지나면 통찰력이 작동해서 지식 선별의 힘이 생긴다. 이후부터는 지식을 추가하고 정교하게 다듬어가기가 용이하다. 깊이 독서의 단계에서는 필요에 의한 '발췌'독서'가 이루어진다. 지금 독서모임에서 하고 있는 것도 깊이 독서로 발제와 공유를 통해 사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같은 내용을 읽었으나 다른 생각과 느낌을 받았음을 확인할 때마다 '다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된다.



책을 통해 어디로 가려고 하는가


독서는 내가 어디로 가는지, 어떻게 가는지, 왜 가야 하는지, 방법은 무엇인지, 잘 가고 있는지 등도 생각하는 기회도 제공한다. 


"무슨 책을 읽을 것인가"

"책은 어떻게 선정해 구입하고 어떻게 배치하며 읽을까?"

"넓고 깊게 읽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독서 이후 책의 내용을 기록하고 흔적을 남기며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도서를 통해 축적된 지식을 어떻게 체계적으로 데이터에 저장할까?"


'책을 읽는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한 번쯤은 가져보는 질문들이다. 책을 좋아한다고 해서 누구나 서재를 갖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거창하고 화려한 서재는 없어도 책꽂이 정도는 웬만한 사람이면 하나쯤 가지고 있다. 지인의 집에 방문했다면 책꽂이에 꽂혀있는 책의 제목을 한 번 훑어보기를 바란다. 관심 분야가 무엇인지 대충 알 수 있다. 책의 제목 만으로도 대화의 물꼬를 트는 힌트를 발견할 수도 있다.



신문에 대한 생각


저자는 7종의 신문을 보는데, 신문을 '읽기'라고 하지 않고 '보기'라고 표현한다. 1단계 훑기, 2단계 선정, 3단계 편집(카메라로 촬영)이다. 촬영한 신문기사들은 N드라이브에 업로드되고, 폴더에 저장한 신문을 읽는 것은 이동 중이거나 잠깐 짬이 나는 시간을 이용해서 본다. 4단계 읽기에 해당한다. 5단계는 보존인데 블로그 주제별로 기사를 넣어 놓는다.


나도 예전에는 신문을 스크랩해서 보관했으나 이제는 방법을 바꿔서 블로그에 스크랩한다. 신문을 보는 이유는 단순하다. 꼼꼼히 읽지 않고 대충 훑어봐도 세상 돌아가는 분위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도 신문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책 읽기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매월 발간되는 신간은 약 3,500권 정도이다. 하루에 100권 이상이 쏟아져 나온다. 이 많은 책을 다 읽을 수는 없다. 그래서 신문을 보고 시대의 흐름을 파악한 후에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책을 선정하면 도움이 된다. 순수한 독서가가 줄어드는 지금, 독서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볼일이다. 



공간은 의미를 부여하기 나름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나만의 서재를 만들어라.'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러나 서재는 반드시 별도의 공간을 가져야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독립적인 공간을 꾸밀 처지가 안된다고 한탄만 해서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형편이 닿는대로 거실 한편에 꾸며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생산하고 정리할 힘을 갖지 못하면 결국 다른 사람이 만든 지식을 따라갈 수 밖에 없다. 저자가 그동안 독서를 통해 품었던 질문에 답이 되는 마치 작은 도서관 같은 서재를 엿볼 수 있는 책으로, 이십 년간 지식 전달자로 살아온 저자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들쳐봐도 좋은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