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마지막 질문 - 나를 깨닫는다는 것 다산의 마지막 시리즈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어떻게 나를 사랑할 것인가?


정약용의 마지막 질문





요즘 사람들은 인생에 있어 재테크를 어떻게 할 것인지, 어떤 직장을 가져야 하는지, 본캐와 부캐를 조화롭게 가져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런 질문들을 많이 하는 것 같다. 화려하고 있어 보이는 많은 물음표 중에 다산의 마지막 질문은 나를 어떻게 사랑할 것이냐는 것이다. 질문이 참 크면서도 소박하다.


학이란 알기 위한 것이며 습이란 행하기 위한 것이니, '학이시습'은 지와 행이 함께 나아가는 것이다. 후세의 '학'은 배우기만 하고 익히지 않기 때문에 기쁠 수가 없다.


36쪽





 배우고 익히는 과정에서 즐거움이 없다면 그건 공부가 아니라고 했다. 진정한 즐거움이란 나를 알아가는 공부라고 하는 이 문장은 '실천'에 초점이 있다. 나를 알기 위해 실천하지 않으면 답을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논어의 문장 중 우리가 가장 많이 만나본 글귀가 아닐까 싶다. 


다산은 바닥으로 떨어졌을 때 위를 올려다보는 대신 기본으로 돌아가고자 했다. 그것이 가장 힘든 시기에 가장 빛날 수 있었던 힘이었다.


43쪽





유배지에서 쌓아온 모든 것을 상실한 다음에도 스스로를 잃지 않고 진가를 드러냈기에 우리는 그를 '다산'이라고 부르는 것이 아닐까.


사람과의 관계를 잘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윗사람에게서 싫어하는 것으로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고, 아랫사람에게서 싫어하는 것으로 윗사람을 섬기지 말며, 앞사람에게서 싫어하는 것으로 뒷사람에게 하지 말고, 뒷사람에게서 싫어하는 것으로 앞사람에게 좇지 말며, 오른쪽이 싫어하는 것으로 왼쪽과 사귀지 말며, 왼쪽에서 싫어하는 것으로 오른쪽과 사귀지 않는 것을 관계를 잘하는 것이라고 한다. 


106쪽





로마의 황금률도 이와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남에게 대접을 받고 싶은 대로 남을 대접하라고 하는 가르침은 나를 대하듯 남을 대하는 것이며, 나를 사랑하듯 남을 사랑하라는 것이다. 곧 나를 사랑해야 남도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 나이 예순, 돌아보니 한 갑자를 다시 만난 시간을 견뎠다. 나의 삶은 모두 그르침에 대한 뉘우침으로 보낸 세월이었다. 이제 지난날을 거두어 정리하고, 다시 시작하고자 한다. 이제부터 빈틈없이 나를 닦고 실천하고, 내 본분을 돌아보면서 내게 주어진 삶을 다시 나아가고자 한다.


349쪽





예순이 되어 오히려 나를 정비하고 나로부터 출발한다는 다산. 다산을 따라 출발하는 나의 본분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마음이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