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 두 친구 - 한국전쟁 71주년 기획소설 생각학교 클클문고
정명섭 지음 / 생각학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우리 둘 다 이방인이구나.


13쪽


희준은 함경북도 청진에서 가족들이 다 같이 넘어왔다며 소개했다. 주섭은 오사카에서 있다가 해방되고 귀국했다고 하면서 서로가 '이방인'이라는 교집합을 찾았다. 



해방 후 해외에 있던 사람들이 귀국하고, 38선이 그어졌다. 38선을 기준으로 왕래가 점점 어려워져 희준이는 원산에서 배를 타고 내려왔다고 했다. 서울에 연고가 있어 다행이었다. 둘이 스키를 타면서 친해지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 공통점이라는 건 사람을 이렇게 잘도 엮어 준다. 게다가 학교도 같으니 안 친해지면 이상할 정도였다. 



하지만 둘의 정치적 입장이 다르다는 걸 확인한 첫날 너무나 어색했다. 글을 읽는 나까지도 어색해서 어쩔 줄 몰랐다. 청진에 살다가 월남한 희준에게 북조선은 사람들을 괴롭히고 착취하는 존재였다. 반면, 일본에서 오랫동안 지내다가 귀향한 주섭은 남과 북으로 갈라져 갈등하고 있는 조선이 이해되지 않았다.



지금 우리는 역사를 배우며 앞뒤의 사건들을 엮어서 글로 배우지만 희준과 주섭은 그 당시를 살아내는 학생으로서 양쪽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사회주의든 뭐든 결국 사람을 잘 살게 만들려는 거잖아. 근데 그것 때문에 서로 멱살잡이에 주먹질을 해. 그걸로도 부족하면 이제 총질하고 칼을 휘두르겠지. 안 그래?


124쪽 나성식의 말


맞다. 


결국 사람을 잘 살게 만들려는 것인데 2021년 현재 우리는 남한과 북한으로 갈라져 있다. 이런 현실을 알기라도 하셨던 것처럼 김구 선생님은 한숨을 쉬며 말씀하셨다.


내 앞을 가로막는 사람들의 심정은 이해하네. 하지만 38선을 베고 죽을지언정 나라가 두 동강이 나는 꼴은 못 본다는 게 내 심정이야.


139쪽


마음이 아프다. 이런 심정이셨는데 결국 우리가 이렇게 남과 북으로 따로 살고 있어서. 


이 책을 읽고... 폭탄을 가지고 쳐들어가자는 아들의 말을 들을 수도 없고, 바보같이 화해를 못 했다는 딸 편을 들어 줄 수도 없는 어려운 문제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지나온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다. 



이데올로기가 불러온 전쟁, 그리고 전쟁의 참혹함. 현대사의 아픔들을 되새기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 



(아이들 책인데 독후감의 마무리가 왜 이리 거창해졌는지...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 중 삶의 고단함으로 목숨을 잃은 경우도 있었는데 그 스토리가 가장 슬펐다.)


 

 

1948, 두 친구


*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1948두친구

#정명섭

#아이가좋아하는작가님

#생각학교

#이데올로기

#분단

#통일이라는개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