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비움 공부 - 비움을 알아간다는 것
조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꿈속에서 나비가 된 것일까.


아니면 꿈속에 내가 있었던 것일까.


장자


나비가 되는 꿈을 꾼 후 장자는 나비가 장자가 된 것인지 장자가 나비가 된 것인지 구분을 못하겠다며 한 말이다. 워낙 유명한 말이라 나도 알고 있다. 맞닿아 있는 꿈과 현실을 어떻게 인식할 것이냐... 그야말로 가깝고도 먼 당신이다. 


인문학자 조희에 따르면 공자는 배움을 강조하고 장자는 비움을 중시한다고 했다. 생각해 보니 영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게다가 요즘 사람들은 '비움'에 대해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집이라는 물리적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물건을 비우고 마음을 비운다. 장자가 봤다면 본인의 철학을 실천하는 사람이 늘어간다고 기뻐하셨을 것 같다.






아침에 네 개, 저녁에는 세 개를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모두 기뻐했다.


조삼모사의 교훈이라면 이러나저러나 하루에 7개를 먹는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신용카드를 예로 들어 소비에 대한 현명함을 발휘하라고 한다. 지갑을 열어보니 신용카드가 여러 장이다. 사용처와 목적이 다 달라서 막상 정리하려면 무엇부터 해야 하나 고민하게 된다. 무엇 하나 없앨 수 없다면 나중에 날아올 청구서를 정확하게 예상하면서 사용해야 한다. 


이것이 저자가 말하는 인간의 조삼모사의 교훈이다.







도와 하나가 되면 차별이 사라지고 집착에서도 벗어나 변화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게 된다.


인생에서 변하지 않는 진리는 없다고 한다. 흔히 하는 말로 사랑도 변하는데 뭐가 안 변할까... 그래서 장자는 변화의 흐름을 순방향으로 타고 넘으라고 한다. 그것이 바로 '도'이다. 역방향으로 간다거나 변하지 않는 진리를 추구하는 것은 진시황제가 불로초를 찾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순리대로 살아가자.






천하를 잘 다스린다는 것은 하늘이 풀어 놓은 덕을 사람들이 함께 누리도록 하는 것이다.


일방적인 시스템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자연이 자연스럽도록 하는 것은 함게 어우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저자는 우리나라의 일방적인 교육시스템을 지적한다. 점수와 순위로 아이들을 줄 세우고 그 등급에 따라 평가하는 것이 얼마나 잘못되고 위험한 것인지를 인지해야 한다. 좋은 회사에 모두 들어갈 수도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된다. 


각각의 삶의 방식은 반드시 존중되어야 한다. 개인의 목표와 인생관을 정립하는 교육에 나는 너무나 찬성하고 싶다. 





집착을 버릴 수 있다면 모든 것을 소유할 수 있다.


'당신은 자신을 위해 무엇을 내려놓을 것인가?'


부처는 왕자의 지위를 버렸다고 예를 들면서 저자는 나에게 무엇을 내려놓을 것이냐고 묻는다. 장자의 책을 읽고 싶었지만 정말 마주하기 두려웠던 질문이다. 


무엇인가를 내려놓을 수 있을까? 아이들을 잘 키워 보겠다고, 통장 잔고를 늘려 보겠다고 아등바등 살고 있는 내가 내놓을 것이 무엇인지부터 생각해 봐야겠다.







어젯밤 폭설로 도로가 마비될 지경이었지만 운전을 할 수밖에 없었다. 차라리 걸어가는 것이 더 빠르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서울에 다녀왔다. 전방에 얽히고설킨 차들이 보였다.


범퍼가 맞닿아 있는 차들을 보며 운전자의 안전을 걱정했다. 무탈하게 갔다면 제일 좋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차들이 종종 보였고, 다른 부분보다 차라리 범퍼가 부딪힌 것이 나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자동차 범퍼는 차체의 안전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앞과 뒤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범퍼가 있다. 그렇다면 내 인생의 범퍼는 무엇일까?


공자의 논리대로라면 무엇인가를 채우면서, 장자의 논리대로라면 무엇인가를 비우면서 인생을 살고 있다. 채움과 비움의 연속일 수도 있다. 인생은 원래 그렇게 돌고 돈다고 누군가 그랬으니까. 그렇다고 꽉 채우면 탈이 나고, 텅텅 비우면 공허하다. 


정리하자면 인생에 있어 빈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치 자동차의 범퍼처럼. 


그래서 어디든 비워보기로 했다. 우선 책상 서랍이 제일 먼저 잡혔다. 지우개 하나 찾으려고 온 서랍을 뒤적여야 하는 이곳을 정리하면서 빈 공간을 마련해야겠다. 지우개가 눈에 잘 띌 수 있도록. 물건들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 

https://blog.naver.com/cau9910/222200080122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장자의비움공부

#조희

#리텍콘텐츠

#내_인생의_범퍼는_텅_빈_주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