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도시 SG컬렉션 1
정명섭 지음 / Storehouse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긴 대한민국이나 북한이 아닌 제3의 공간, 아니 제3의 도시라고.

원종대



대한민국도 아니고 북한도 아닌 제3도시, 개성공단. 


그곳에서 뭔가 정상적이지 않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 정상이 아닌 곳에서 정상처럼 보여야 하는 곳이기에 잘못된 것을 수정한다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원종대는 강민규를 찾아갔다. 조용히 알아보라고.


강민규는 최대한 그렇게 하고 싶었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쪽 법인장이 사망했기 때문이다.



유순태의 살인범으로 체포합니다.


게다가 살인범으로 체포되기에 이르렀다.


"조사하라고 했지 누가 사람 죽이라고 했냐!"라는 소리까지 들었지만 강민규는 차근차근 문제를 해결한다. 물론 그 과정에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스릴도 있었다. 특히 강민규와 오재민 소좌가 이야기를 주고받는 장면은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사이지만 알고 보니 '너랑 나랑 죽이 잘 맞네?' 했던 장면.


요즘 아이들은 북한과 같은 민족이라는 걸 잘 믿지 못한다는데 이 책을 읽으면 꼭 그럴 것도 같지 않았다. 다를 바가 없었다. 


공화국에서는 사는 곳을 옮기려면 돈과 시간이 엄청나게 많이 들지요. 그래서 지대혁명이라고 부릅니다. 그렇게까지 해서 개성으로 주소를 옮겨놔야만 이곳으로 일하러 들어올 수 있습니다.


어두운(?) 방법으로 주소를 옮겨 뭔가 혜택을 보고자 하는 것이 참... 어찌 이리 같을까? 그리고 나의 생각을 읽은 듯...


어떻게 이렇게 남북이 똑같을 수 있지?


같으면서도 다른 남과 북.


그리고 세대마다 또 다른 생각을 가진 남과 북.


우선 이 책은 재미있었다. 앉은 자리에서 다 읽을 만큼 몰입도가 높았다. 


남과 북의 관계가 사실적이면서도 진짜 그럴까 싶을 정도로 의심스럽기도 했다. 도라산역에서 개성 공단을 오가는 사람들을 본 적이 있다. 그들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샐러리맨의 모습이었다. 그들이 개성공단에서도 평범한 직장인처럼 지낼까? 내가 아는 바가 없고 알려진 것도 별로 없는 걸로 보아 뭔가 일상적이지 않은 것들이 있으리라. 


하지만 그것들마저도 제3도시라는 설정에서 모두 아낌없이 사용한 정명섭이라는 작가가 궁금해서 검색을 했다. 오호~! 아이들 책을 읽으면서 접했던 작가님이다. 


정명섭 작가님이 나도 모르게 익숙해진 것처럼 북한도 그럴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 책은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고, 리뷰는 주관적으로 작성했음

https://blog.naver.com/cau9910/2221768470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