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바꾸는 착한 특허 이야기 세계를 바꾸는 착한 이야기
김연희 지음, 성영택.송영훈 그림, 한태현 자문 / 북멘토(도서출판)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허'라 함은 특정한 기술이나 어떤 것에 공식적으로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이런 특허라는 개념에 착한... 착하다는 개념이 더해져서 '착한 특허'에 관한 책. 더 나아가 그냥 착한 정도가 아니라 세계를 바꿀 정도라하니... 아이와 함께 읽을 책으로 딱이다.

특허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다면 특허청을 먼저 둘러봐도 좋을 것 같다.

지적 재산권을 비롯한 특허출원, 우리나라의 상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

https://www.kipo.go.kr/kpo/MainApp

 

 


 

 

특허청

이전 재생 정지 다음 배너 더보기 최신글 약물재창출 활용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바이러스제 특허정보집 발간 2020-06-26 부처협업으로 중소기업 기술탈취 뿌리뽑는다! 2020-06-26 ‘언택트 경제’ 지식재산으로 주도한다! 2020-06-26 특허청 출원과장(공모직위) 모집 재공고 2020-06-25 2020년도 특허청 정책연구용역 과제(해외특허출원이 중소제조기업의 성장 및 매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수행기관 모집 공고 2020-06-25 2020년 스타트업 지식재산바우처 사업 IP서비스기관 Pool 3차 모집 공고 ...

www.kipo.go.kr
 

 

특허를 받으면 일정 기간 동안 자신의 발명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는 것이다. 권리를 보장 받는다는 것은 경제적 이익을 보장받는 것이므로 다른 말로 하자면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소개하는 사람들은 특이하게도 특허를 포기한 과학자들이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포기한 사람들.

심지어 본인의 궁핍한 생활을 충분히 면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을 위해 특허를 공유한 사람들이다.

이 책에서는 소아마비 백신, 피뢰침, 월드 와이드 웹, 엑스선, 안전벨트, 리눅스, 페니실린, 교류전기, 라듐, 아두이노를 공유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 qimono, 출처 Pixabay

 

 

조너스 소크는 본인에게 백신을 주사하고도 믿음을 얻지 못하자 아들에게 주사하여 마침내 약효를 증명받았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면서까지 가난한 나라의 어린이들도 소아마비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도록 한 결정은 그야말로 대의를 위한 결심이 아니었을까...

 

 

 

© socalcaral, 출처 Unsplash

 

 

'X-ray'는 '아직 아무도 모르는 빛'이라는 의미.

뢴트겐은 아무도 모르는 이 빛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줄 알았을까?

노벨물리학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뢴트겐을 계속 실험실에 있게 한 것은 감히 인간의 몸을 본다고 신성모독과 같은 오해를 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교류전기를 개발한 니콜라 테슬라.

이 단원을 보자마자 나는 예전 영화가 떠올랐다.

 


 

 

커런트 워
감독알폰소 고메즈-레존출연베네딕트 컴버배치, 마이클 섀넌, 니콜라스 홀트, 톰 홀랜드개봉2019. 08. 22.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에디슨은 에디슨이 아니다....  테슬라는 안전하고 대중적인 전기를 보급하기 위해 무던히도 애썼던 과학자였다.

 

 

 

 


세계를 바꾸는 착한 이야기 시리즈 중 유독 특허에 대한 이 책은 아이들에게 인류애를 설명하며 소개하고 싶다.

많은 사람들이 재산과 사회적 위치와는 상관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사람들.

그 사람들을 보면서 우리 아이들도 그런 생각을 하면서 자랐으면 좋겠다.

 
https://blog.naver.com/cau9910/222014769746

태그
#착한특허이야기

#김연희

#성영택

#송영훈

#한태현

#북멘토

#허니에듀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